[장석원의 '미술 인문학'] 앤디 워홀과 '예술의 종말'

앤디 워홀, ‘흰 브릴로 상자들’, 1964. 슈퍼마켓의 브릴로 상자와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지고, 같은 모양으로 진열된 이 작품은 미술계에 중요한 물음을 던진다.

1964년 뉴욕에서 앤디 워홀의 작품 ‘흰 브릴로 상자들’이 발표되었다. 외관상 이 작품은 슈퍼마켓의 브릴로 상자와 다를 바 없었다. 작품을 쌓아올려 전시한 모습도 마켓의 진열 방식과 똑 같다. 목수를 시켜 만든 나무상자 표면에 색을 칠한 후 실크스크린으로 상품 로고를 찍어 만든 작품, 슈퍼마켓에 진열된 상품을 똑 같이 복제해 만든 작품, 이것은 미술의 개념에 중대한 차이를 만들었다.

앤디 워홀(1928-1987).

미술평론가이자 현대 미학자인 아서 단토는 이 장면을 보고 크게 충격을 받았다. 이로부터 나온 이론이 ‘예술의 종말’이다. 이는 모더니즘의 역사에서 예술가에게 부여되던 시대적 사명은 더 이상 의미가 없게 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명령은 역사로부터 나오며’, 예술가는 ‘현재로서는 자신의 야망을 내던지고 케케묵은 과거로 되돌아가지 않는 다음에야 결코 벗어날 수 없는 족쇄’에 사로잡혀 있다고 주장했던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주장은 무력하게 되었다. 이제 예술가는 역사의 족쇄로부터 벗어나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시대를 맞았다. 그것이 아서 단토가 말하는 ‘예술의 종말’이다. 즉, 모더니즘이 관류하던 동안 예술가를 구속해오던 강령- 시대적으로 새롭고 순수한 것을 추구해야 한다는, 자신의 야망을 버리고 역사적 명령에 따라야 한다는 기조가 무너졌다는 것을 뜻한다. 동어반복적이고 자기증명적인 모더니즘의 ‘예술을 위한 예술’은 종말을 고했다. 이제 예술가는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자유를 갖게 되었다.

그렇다면 예술가는 이 자유를 가지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 ‘예술의 종말’이라는 상황은 곧 예술의 모더니즘 체계가 무너졌다는 것을 뜻하고, 서구 유럽으로부터 지구 변방까지 영향을 미치던 중심축이 사라졌다는 것이며, 예술이 취해야 할 역사적 방향 같은 것은 없으며, 미래의 역사적 관점에서 봤을 때에 어떠한 방향도 나머지 다른 방향들과 동등하게 좋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제 우리는 완전한 예술적 다원주의의 시대에 들어 서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술가는 시대의 예언자가 될 수 있다. 젊은 앤디 워홀이 슈퍼마켓의 브릴로 상자와 똑 같은 것을 만들어서 미술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듯, 아무 것도 정의해주지 않는 예술의 광야에서 온몸으로 자신의 소명을 느끼며 이것이 예술이라고 외쳐야 한다. 새로운 도전은 새로운 예술의정의를 만들어낸다. 워홀이 만들었던 브릴로 상자 한 개는 2010년 뉴욕 경매에서 300만 달러에 팔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