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후반 꽃샘추위가 물러가고 절기상 춘분이 되면서 진달래와 개나리 등 봄꽃이 개화하기 시작했다. 춥지도 덥지도 않아서 일년 중 농사하기에 가장 좋은 절기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농업부문의 피해 확대와 농사활동이 위축되고 있다.
졸업식, 입학식 등의 취소로 화훼농가는 이미 직접적인 경제적 타격을 받았고, 학교 개학이 4월로 연기되면서 학교 급식 납품일정에 맞춰 계약 재배한 엽채류, 과채류 및 과일류 생산농가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 특히 저장성이 낮은 채소류는 납품시기를 놓쳐 전량 폐기해야 할 위험에 처해 있다. 농촌 체험을 운영하는 농장 및 마을들은 예약된 체험이 취소되어 체험 소득이 전혀 없는 상태가 되었다.
이렇게 심각해지고 있는 농업부문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광역지자체가 판촉활동에 애쓰고 있다. 택배비 지원과 ‘감자 파는 도지사’를 자처하며 도지사가 감자팔이에 나선 강원도의 경우도 연일 완판 행진이라는 예상 외의 열풍을 불러 일으키고, 경기도 역시 도지사가 SNS를 통해 ‘착한 소비’를 독려하며 친환경 학교급식 농산물 구매 홍보에 나섰다. 전라북도와 전북교육청도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판매 운동을 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도 지난 20일 친환경농산물 할인판매 지원 등 긴급대책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광역지자체의 일시적인 홍보와 이벤트, 농림축산식품부의 할인판매 지원으로 전체물량을 소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중앙정부는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한 추가경정예산 11조7000억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하여 지난 주 국회에서 최종 통과했다. 추경의 주요 세부내용을 보면 민생·고용안정 지원, 중소기업·소상공인 회복지원, 침체 지역경제 회복 지원, 감염병 방역체계 보강·고도화, 대구·경북 지역 특별 지원 등이 핵심이다. 농업분야에 대한 지원은 추경과 별도로 농산물가격안정기금 운용계획 변경을 통해 농식품 수출지원, 식품·외식업체 지원, 화훼소비 촉진 분야에 483억 원을 지원하고, 예비비로 친환경농산물 수요기반 확대에 지원하는 것에 불과하다.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불어날 전망임을 고려하면, 농민들에게 피부에 와 닿는 지원 대책은 미미한 것이다.
더구나 농촌의 중요한 노동력으로 자리매김한 외국인노동자들마저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코로나19의 국내 발생 후 감염 확산세가 이어지자 농촌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속속 자진 출국하거나, 외국인 고용허가제를 통한 계절근로자 입국이 보류되는 등 노동력 수급에 대한 불안이 커진 상태로 향후 영농 규모 축소와 작목 전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묵묵히 농토를 일구어 국민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해 오고 있는 농민을 외면하지 않고, 농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지원 방안이 마련되길 희망한다. 농업인과 농업부문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영농활동 지원을 위해 관련 기관의 모든 역량을 모아주길 바라며, 소비자 역시 로컬푸드 직매장과 직거래장터를 자주 이용하여 판로가 막힌 농산물의 숨통을 터주는 데 한 몫을 하는 착한 소비자로 거듭나길 바라는 마음이다.
코로나19에게 빼앗긴 봄, 그래도 꽃은 피고 있다. 갑자기 시인 이상화님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라는 시가 떠오른다. 우리 모두 사회적 거리를 두고 심정적 거리를 가까이하며 빼앗긴 봄을 찾아 나설 때이다.
/이승형 삼농연구소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