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석원의 '미술 인문학'] 영화 '작가미상'과 투표

영화 ‘작가미상’의 명장면. 정치인들의 포스터를 불태우며 예술에 투표하라고 말한다.

영화 ‘작가미상’에는 뒤셀도르프 아카데미 교수 요셉 보이스가 강의 중에 양대 정당의 선거 포스터를 두고 불로 태우는 장면이 있다. 정치에 표를 던지지 말고 예술에 표를 던지라고 말한다. 독일의 유명작가 게르하르트 리히터를 주인공으로 다룬 이 영화는 예술이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예술은 무엇을 하기 위한 것인가? 등의 질문을 진진하게 떠올리게 한다.

당시는 동, 서독으로 나뉜 상태였고 리히터는 동독을 탈출하여 뒤셀도르프에서 현대미술에 전념하고 있었다. 동독에서는 공산주의 선전 벽화로 인정받고 있었지만, 자유와 진실을 찾아서 애인 에르나와 함께 탈출한다.

우리도 총선을 맞아 본격적인 운동을 벌이고 있다. 출근 시간에 맞추어 길모퉁이에 서서 연신 머리를 조아리고 손을 흔드는 후보자들, 국회의원으로 행세할 때에는 얼굴 한번 보기 어렵고 분주하게 당리당략에 따라 움직이지만 지금은 유권자만 보이는 모양새다.

페이스 북에 글을 하나 올렸다. ‘다른거 다 필요없다. 뻔뻔한 놈들만 심판하면 된다.’ 사실 유권자 입장에서는 투표로서만 권리 행사를 할 수 있다. 다람쥐 쳇바퀴 돌 듯 돌고 도는 정치권 놀음에 장단을 맞출 필요는 없다. 정치인들의 정치판 놀음도 갈수록 교묘해져서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옳은지도 구분이 안 될 때가 많다. 우리 지역 정치인들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치판에 유난히 뻔뻔스러운 자들이 많다는 것은 국민 모두가 잘 알고 있다.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이런 자들부터 퇴출시키는 것이 국민의 권리라고 생각한다.

나도 요셉 보이스의 말처럼 정치보다는 예술에 표를 던지고 싶다. 그런 입장에서 정치 판의 놀음보다는 예술 판의 입장에서 보면 절박해 보이던 그것도 웬걸 유치해 보이기까지 하다. 정치적 운명이 걸려 있다고 하소연 하지만, 왜 대의를 위해 목숨을 버릴 줄 모르는가? 자신의 정치적 목숨 줄이 별 것인가? 자신을 죽일 줄 모르는 정치인도 뻔뻔해 보이기는 마찬가지이다.

사실 그렇게 거룩한 정치인을 바라는 것도 아니다. 그저 정직하면 좋고, 틀린 건 틀렸다고 말 할 수 있는 사람이면 된다. 그런데 그런 사람조차 구경할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 이것부터 되지 않으면 나머지는 모두 거짓이다. 말끝마다 민주주의를 팔아먹는 위선자들, 이들부터 심판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