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봄은 왔다. 벚꽃잎이 거리마다 속절없이 눈처럼 날린다. 벚꽃은 군락을 이루어 피기 때문에 한순간에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봄기운에 취하게 한다. 세상 속 벚꽃이 질 무렵이면 봄 산은 나무에 새순이 연두로 피고 안개인 듯, 구름인 듯, 군데군데 산벚꽃이 피어 아련하고 아름다운 산으로 태어난다. 우리가 벚나무라 부르는 나무 가운데 진짜 벚나무는 아주 드물다고 한다. 벚나무와 비슷한 나무 중에 산벚나무, 왕벚나무, 개벚나무 등이 있다. 일본 국화인 왕벚나무가 자생하는 것을 일본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는데, 1908년 한국에 선교 차 와있던 신부가 한라산에서 처음 왕벚나무를 발견했고 이어 1912년 독일인 식물학자에 의해 정식 학명이 등록되어 우리나라가 왕벚나무 자생지임이 밝혀졌다. 우리나라 왕벚나무는 높은 곳에서 자라는 산벚나무와 낮은 곳에서 자라는 올벚나무와의 잡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나무는 씨를 맺는 것이 매우 부실하여 자연적으로 많이 퍼지지 못한다. 일본으로 건너가게 된 경로도 아직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요즘, 완주 불명산 계곡엔 산벚꽃이 봄바람에 흩날리고 있다. 불명산에 산벚나무가 많아서 아름답기도 하지만 불명산 화암사는 조선 초 우리나라 불경간행의 메카였다. 산벚나무는 조직이 조밀하나, 너무 단단하지도 무르지도 않고 잘 썩지 않아 글자를 새기는 데 좋다. 그래서 책을 간행하기 위한 경판제작에 최적의 나무이다. 해인사 팔만대장경판에 사용한 나무 중 60% 이상이 산벚나무라고 한다. 화암사가 불경간행의 중심사찰이 된 데는 이 절을 중창한 성달생이 있었기 때문이다. 성달생은 조선 초 전라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아버지의 명복을 빌기 위해 절을 중창하고 불경을 간행했다. 무인 출신이었지만 아버지와 성달생, 그리고 그의 아들 모두 글씨를 잘 썼다 한다. 그의 손자는 사육신 중 한 사람인 성삼문이다. 경판을 만들려면 먼저 경전의 내용을 글씨로 써야 하는데 명필이었던 성달생의 글씨로 찍은 화암사판 불경은 세종 때부터 나와 12종에 이른다. 심지어 화암사판 법화경은 복각본이 24종이나 되어 조선 시대 법화경은 성달생 글씨로 판각한 것이 대부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화암사는 성달생이란 인물로 조선 초 불경간행의 중심사찰이 된 것이다. 조선 초 성달생의 글씨로 찍은 화암사판 불경은 전국에서 간행이 되었고, 조선 중기에는 정읍 무성서원에서 일종의 상업용 책을 만들어내기 위한 방각본이 간행된다. 조선 후기에는 전주에서 완판본이 간행되어 한양에서 나온 경판본과 함께 우리나라 출판문화의 양대 축을 이루었다.
안도현 시인의 시「화암사, 내 사랑」에 “인간세 밖에도 있고 안에도 있는 곱게 늙은 절”이라며 “찾아가는 길을 굳이 알려주지는 않으렵니다”라고 한 절이 불명산 화암사이다. 화암사에는 국보로 지정된 극락전과 ‘꽃비 내리는 누각’이라는 보물, 우화루의 유명세에 가려 철영재라는 한 칸짜리 사당을 눈여겨보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극락전과 불명암 사이에 있는 유교 문화의 공간인 이 사당, 철영재가 바로 성달생을 모신 사당이다. 철영재 현판은 대나무를 잘 그리는 조선 3대 화가 중 한 사람인 자하 신위가 썼다. 화암사 요사채는 적묵당이라 한다. 적묵(寂?)은 여유로움을 뜻한다.
봄 같지 않은 올 봄, 화암사 우화루(雨花樓)에 내리는 산벚나무 꽃비에 답답한 마음 씻어 보면 어떨까?
/이흥재 정읍시립미술관 명예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