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은 하얀 벚꽃이 흐드러진 완연한 봄이 되었건만 우리의 경제는 아직 봄이 오지 않은 것 같다. 이른바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초중고교의 개학이 연기되고, 확진자가 다녀간 음식점, 병원, 백화점들이 휴업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겪고 있다. 아울러 외출을 자제하는 분위기 속에 소비침체의 직격탄을 피할 수 없는 소상공인과 해외 수출입 마비로 생산차질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상황은 때아닌 혹한기를 겪고 있다. 생동과 활기가 넘치는 봄을 기대해 온 우리에게 잔인한 4월이 되어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우리의 최대 교역국이며 세계 경제의 주축으로 부상한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지역봉쇄와 통행제한이 초래하는 경제활동의 위축은 거대한 중국경제에 큰 그림자를 드리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두운 경제전망 속에서 우리가 미처 눈여겨보지 못한 숫자들은 우리에게 희망을 제시하고 있다. 창업동향의 표준 지표인 ‘세계 기업가정신 조사’와 ‘OECD의 벤처투자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창업활동인구 비율과 벤처투자액이 지속 증가되고 있고, 11번째 유니콘 기업이 나오면서 국가별 유니콘기업 순위가 미국, 중국, 영국, 인도에 이어 독일과 함께 공동 5위로 올라섰다.
또한,문재인정부가 저성장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벤처 창업활성화를 주요 정책으로 중점 추진한 결과, 지난해 기술창업 법인수가 22만개로 3년 연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한편, ‘19년 기준 벤처투자액이 4조 3000억원으로 2017년과 비교하면 2년만에 1.8배가 증가했다.
과거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수많은 대기업들이 극심한 자금난을 견디지 못하고 무너질 때, 새로운 기술과 아이템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신생 벤처스타트업의 도전 정신이 우리 경제를 재건하는 원동력이 되었던 것처럼 이번 코로나19 사태의 위기를 극복 가능하게 만들고 있는 새로운 기술들은 모두 우리 벤처·스타트업에서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진단키트를 만드는 솔젠트, 전국적으로 개학이 연기된 가운데 원격교육을 지원하는 에듀테크, 코로나 맵을 만든 대학생 스타트업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수출입에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감염증 예방·진단 관련 벤처·스타트업 등 수출혁신기업의 신규·대체 수출시장 발굴을 지원하기 위해 수출바우처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창업기업이 직접 생산하는 제품, 용역, 공사에 대해 일정 비율의 구매목표를 정하고 목표 이상을 구매하도록 하는 ‘창업기업제품 공공기관 우선구매 제도’를 신설하여 스타트업의 경쟁력 확보는 물론 코로나19로 자금과 판로에 어려움을 겪는 창업기업에게 숨통을 틔워 주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코로나19로 사회 전반의 분위기가 가라앉고 많은 활동들이 위축되고 있다. 우리 사회와 경제에 충격을 줄이고 급한 불을 꺼나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편으로는 코로나19 이후 나타날 수많은 변화 속에서 우리 벤처·스타트업들이 지속적으로 도약해 나갈 방안도 조금씩 준비해 나가야 한다.
위기를 견디고 나면 더 강해지는 법이다. 추운 겨울날 눈서리를 맞으며 견뎌낸 나무만이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것처럼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벤처·스타트업이 계속 앞으로 나아 갈 수 있도록 모두의 관심과 격려가 필요한 시기이다.
/안남우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