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 경기불황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면서 자영업자·소상공인은 생존위기에 직면해 있다. 서민경제를 대변하는 골목상권은 코로나19가 시작된 2월·3월부터 매출이 눈에 띄게 줄면서 예년대비 60∼70%이상 떨어진 상태다. 종업원을 그만두게 하고도 재료비·인건비를 빼고 나면 손에 쥐는 것이 한 푼도 없다고 하소연한다. 더욱이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 강력히 추진되면서 소비심리 위축은 한층 더해져 이같은 흐름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영세 중소기업도 수출과 내수시장이 ‘코로나19 빙하기’에 휩싸이면서 깊은 수렁에 빠져 있다. 매출이 거의 발생하지 못함에 따라 직원월급·물품결제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이들 업체들은 자금을 임시변통 하거나 자산매각·순환휴직 등 비상 자구책을 동원해 근근이 버티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일부 업체는 고정비 지출을 줄이기 위한 직원감축에 나섰다. 도내 실업급여 신청자가 지난 10일 기준 전년 대비 1402명이 늘어난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장은 이렇게 비상상황 인데도 이들에 대한 정부나 자치단체의 지원은 실효를 거두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대출 문턱이 높아 급전이 필요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에겐‘그림의 떡’이나 마찬가지다. 코로나19 사태로 최악의 불황 시기인 점을 감안하지 않은 금융기관 등이 대출자격과 조건을 너무 엄격히 적용한 데 따른 문제점이다. 코로나19 특례보증 지원도 지난 9일 기준 2485건이 접수됐지만 보증서 발급및 대출 실행은 540건이 고작이다.
이처럼 자금난에 허덕이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은 기존 적금·보험을 해지하면서까지 겨우 버티고 있다. 지난 달 5대 은행에서 개인의 예·적금 중도해지 건수가 80만건으로 작년 대비 43%나 급증했다. 마찬가지로 생·손보사 장기보험 해약금도 3조162억원으로 작년 대비 29% 늘어났다. 사정이 이렇게 심각하자 소상공인 연합회는 지난주 회견을 갖고 “업체들은 더 이상 버틸 재간이 없다. 자금지원이 한시바삐 이뤄져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정부가 지원금 대출제도를 기존 규정에 얽매여서는 안된다. 정부 지원이 ‘사후 약방문’이 되지 않도록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