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제21대 총선에서 전북도민은 더불어민주당에 압도적 지지를 보냈다. 남원·임실·순창을 제외한 9곳을 민주당이 석권한 만큼 지역에 대한 무거운 책임감이 지워졌다. 당선을 기쁨을 누리기에 앞서 전북이 처한 현실이 녹녹하지 않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민생경제는 파탄 지경이다. 20만여 명에 달하는 소상공인·자영업자는 폐업 위기에 몰렸다. 전북지역 소상공인은 도내 사업체 수의 84%를 차지하고 종사자 수는 33%에 달한다. 이들이 무너지면 민생 경제는 붕괴할 수밖에 없다. 농민들도 어려움에 처하기는 마찬가지다. 22만여 명에 달하는 농민들은 농사 걱정이 태산이다. 영농철을 맞아 일손이 시급한 데도 코로나19 사태로 외국인 인력 수급이 안 돼 막막한 상황이다. 농사를 지어도 우려가 앞선다. 코로나19 사태로 농산물 소비가 안 돼 판로가 꽉 막혔다. 학교급식용 친환경농산물은 수백t이 쌓여 폐기해야 할 실정이다.
도내 수출도 큰 폭으로 떨어지고 중소기업 체감경기도 4개월째 내리막길이다. 전북연구원에선 올해 경제성장률이 전년 대비 2.5~3.0%P 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해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된다. 대량 실업 사태도 우려된다. 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이스타항공은 우선 직원의 절반을 감원할 계획이다. 실업자가 급증하면서 실업 급여 지급액은 사상 최대로 늘었다.
21대 국회의원 당선자는 최악의 위기에 처한 전북 경제를 살려내는데 최우선을 두어야 한다. 소상공인과 농어민, 중소기업, 수출기업 등에 대한 선제적 지원과 함께 제도적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지역 일자리 창출과 청년 실업 해소도 급선무다. 매년 1만여 명이 넘는 20~30대 젊은층이 일자리를 찾아 전북을 등지고 있다. 젊은층이 고향을 떠나면서 합계출산율은 0.97명으로 떨어져 11개 시·군이 지역 소멸 위기에 처했다.
3년째 문 닫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과 제3금융중심도시 조성, 탄소·수소경제 거점도시 육성 등 전북 경제 현안도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전라북도의 산업생태계와 미래 성장동력을 새롭게 구축해나가는 큰 그림을 그려나가는데 주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