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수필] 꽃물

최정순

4월 어느 날, 그날 아침엔 까치도 울지 않았는데 아무런 기별도 없이 불쑥 찾아온 손님이 있었다. 그것은 바로 ‘꽃물’이었다. 7형제의 무녀리인 나는 초등학교시절에 툭하면 두드러기가 솟고 추악(학질)을 앓아 키니네를 입에 달고 살았다. 핼쑥한 얼굴에는 마른버짐이 퍼져 까칠했고, 목은 가느다랗고 종아리는 새 다리였다. 거기다 먹성조차 까다로워서 밥상에 앉으면 콩을 가려냈으니 그 꼴이 어떠했을까. 그저 눈만 커서 ‘눈보’라 부르게 된 것이 무리는 아니었다.

여자는 모름지기 둥근달을 가슴에 품고 있으면서 때로는 초사흘 달처럼 야릿하게 핏기 없는 핼쑥한 얼굴이 더 예쁠 때도 있다. 어느덧 허약했던 내가 여중생이 되었다. 교복은 아예 3년 동안 입을 요량으로 크게 맞춰서 버마재비 폼에 운동화는 늘 논흙이 묻어 있었다. 어설픈 시골뜨기 여학생이었지만 새끼줄에 매달린 오뉴월 오이처럼 하루가 모르게 달라졌다.

젖가슴은 몽실한 망울이 생기고, 볼기와 새다리도 살이 토실 올랐다. 갸름한 얼굴에, 귀 밑에는 명주털이 보송보송 돋고, 속눈썹은 꽃술처럼 피어났으며, 복숭아 빛 볼에 발그레한 입술사이로 드러난 이가 유난히도 반들거렸다. 하얀 깃을 단 까만 교복차림이 물 찬 제비처럼 S라인을 만들어 갔다. 더욱 두드러진 것은, 생각과 행동이 몸을 따라 나선 것이다.

창피하고 부끄러운 것, 아름답고 멋스런 것을 알고, 때로는 내숭도 떨었다. 그리고 이성에도 조금씩 눈을 떴다. 성적이 떨어지면 창피해서 더 열심히 공부했고, 부끄럼을 타서 혀를 날름거리는 버릇도 생겼었다. 요 밑에 깔아 주름을 잡은 바지를 입고 애교머리로 멋을 부렸으며, 손수건, 손거울, 빗은 가방 속에 항상 챙겨가지고 다녔다.

옆집에 멋진 남학생이 하숙을 하고 있었다. 우물가에서 양말이나 손수건을 빨고 있으면, 그 집 대청마루에서 영어책 읽는 소리가 춘향골 이 도령의 사서삼경 읽는 소리처럼 들렸다. 그래서 내 딴엔 영어단어도 열심히 외웠고, 오락시간엔 영어노래로 인기 좋던 여고시절도 있었다.

그런데 내 나이 열다섯 살 때였다. 어느 날 ‘꽃물’이 툭! 터지던 순간, 심장이 뛰고, 땅이 진동하고, 태양이 곤두박질쳐 눈앞이 캄캄했다. 반세기가 흘렀는데도 잊혀 지지 않는다.

느닷없이 불쑥 찾아온 손님 때문에 나는 어찌할 바를 몰랐다. 행여 누가 알까 싶어 골방구석으로 도망가 두려움에 떨었다. 내 옆엔 할머니도 계시지 않았다. 내 문제는 나 스스로 헤쳐 나가야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경험했었다. 그해 4월의 봄은 나에게 가혹하리만치 잔인했다. 내 살갗을 찢고 화산처럼 치솟은 꽃물, 꽃물이 찾아왔을 때 비로소 나는 꽃을 피우기 시작한 것이다. 마땅히 축복받아야 할 일이었을 텐데 왜 그리도 부끄럽고, 창피하고 두려웠던지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얼굴이 화끈거린다.

이제 꽃물은 내 곁을 떠났다. 꽃물, 너를 보내고 나는 내 정신이 아니었다. 순장(殉葬)이라도 하고 싶었다. 우리는 28일을 주기로 40년이란 세월을 같이 보냈다. 그런 너를 내가 어찌 잊으랴! 견디다 못한 나머지 ‘에스트로겐’이란 친구와 사귀어 봤지만 첫정인 너만 했을라고. 너도 나를 못 잊어 초사흘 달이 되어, 보름달이 되어, 싸늘한 새벽달이 되어, 어느 땐 구름에 가려진 낮달이 되어, 너의 넋은 내 곁을 지금도 맴돌고 있지 않느냐. 우린 비록 떨어져 있지만 내 목숨 다하는 그날까지 너는 내 마음속에 고이 간직되어 있으리라.

 

△최정순 수필가는 종합문예지 《대한문학》 수필 부문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수필집 <속빈 여자> 를 출간했고, 제7회 행촌수필문학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