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대한방직 부지를 어떻게 활용하는 게 가장 효율적인지를 논의할 각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공론화위원회가 출범했다.
전주시는 23일 옛 대한방직 부지에 대한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담아 미래모습을 함께 고민하고 토론하기 위한 ‘시민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공론화위원회 출범에 앞서 사전준비위원회는 지난 2개월간 회의를 갖고 공론화 방식 결정, 의제 설정, 시민공론화위원회 위원 구성, 운영 규정(안) 등을 마련했다.
사전준비위가 결정한 공론화 의제는 대한방직 부지의 개발 가능 여부, 도시계획 변경 가능 여부, 기반시설 적정 여부, 개발이익 환수 등이다.
앞으로 진행될 대한방직 부지의 공론화 방식은 의제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장·단점을 토론한 뒤 적합한 대안을 모아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시민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는 ‘타운홀미팅’이나 충분한 학습과 논의를 통해 사회적인 공론을 도출하는 ‘공론조사’ 방식을 병행할 예정이다.
공론화위원회 위원의 경우 연속성을 고려해 공무원을 제외한 사전준비위원회 위원들을 비롯해 갈등 전문가 1명, 도시계획 전문가 1명, 사회경제 전문가 2명, 회계(감정평가) 전문가 1명을 추가해 총 11명으로 구성됐다.
공론화위원회는 공론화 의제를 중심으로 시민과 각계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토론의 장을 여는 등 보다 공정하고 투명하게 사회적 합의로 대한방직 부지의 활용 방향을 도출할 계획이다.
시는 오는 10월까지 운영될 시민공론화위원회 운영을 통해 사회적 갈등 최소화, 특혜 논란 차단, 투명한 시정운영을 통한 행정 신뢰 향상, 시민들이 직접 정책결정에 참여하는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희진 시민공론화위원회 사전준비위원장은 “시민공론화위원회는 투명하고 공정한 운영을 통해 전주 옛 대한방직 부지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 시민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는 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