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지속 가능한 축산업의 발전을 위해 ‘축산환경개선 5개년 계획’을 추진한다.
이번 계획은 축산환경개선을 통한 ‘이웃과 함께하는 축산업 실현’을 목표로 오는 2024년까지 5년간 5대 분야(18개 과제) 23개 사업에 1274억 원의 재정을 투입해 축산냄새 문제를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
전북도는 이 기간 동안 분뇨사업 지원 농가에 대해 냄새 측정 ICT 기계·장비 설치로 실시간 관리를 통한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 확대하고, 축산농가의 의식 개선을 위해 ‘축산환경 개선의 날’ 확대 운영과 축산환경개선 컨설팅 및 교육을 강화한다.
2019년 기준 471호인 깨끗한 축산농장 지정을 오는 2024년까지 1500호로 늘릴 계획이며, 축산냄새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정착촌, 집단사육 양돈 단지에 ‘광역악취개선사업’을 지원한다. ‘냄새 측정 ICT 기계·장비’도 의무 설치하고, 축산농가 의식 개선 지도 지원도 2024년까지 300호로 늘린다.
아울러 가축분뇨처리 지원사업의 지원기준을 강화, 실질적인 지원을 통한 분뇨처리 최적화 유도할 계획이다. 화학비료와 농약사용 감축으로 자연 순환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퇴액비 수요처 확보 등 유통을 촉진하고, 퇴액비 생산시설이 관련 기준을 준수토록 지도점검 지속 추진한다.
또한, 축산환경 관련 부서(축산과, 농산유통과, 환경보전과, 물환경관리과, 새만금수질개선과)가 상시 논의기구를 구성해 축산환경개선을 위해 주기적 운영으로 협업 체계 강화한다.
최재용 전북도 농축수산식품국장은 “축산환경개선 5개년 계획 추진을 통해 축산냄새로 인한 축산업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고 쾌적한 축산환경 조성을 통해 이웃과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