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회 의장단의 외유성 워크숍, 정읍시의원의 성추행, 일부 김제시의원간 성추문 의혹 등 지방의원의 도덕적 해이가 심각하다. 집행부 비판기능이 생명인 지방의원의 윤리 도덕성 실추는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전주시의회 의장단은 코로나19 여파 속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됐던 지난 4일 제주도로 워크숍을 갔다가 어제 돌아왔다. 박병술 의장과 강동화 부의장, 김현덕 운영위원장, 백영규 행정위원장, 이경신 복지환경위원장, 박형배 문화경제위원장, 김진옥 도시건설위원장 등 7명이 그들이다. 전주시의회 직원 4명이 동행했고 비용은 모두 시민 혈세로 충당했다.
워크숍 명분은 ‘추경 예산 및 코로나19 대응’이었지만 정작 예결위원장은 참여하지도 않았다. 시기와 방문지역도 제주도가 코로나 때문에 제주도 방문 자제를 호소하고 있던 터여서 적절치 않다. 일정 역시 제주도의 지역생태 및 관광상품, 전기자동차, 도시재생 현장 등에 치우쳤다.
동료 의원들마저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이다. 공론과정도 없었다. 뭔가 꿍꿍이가 있는 짬짬미 워크숍이라는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 의원 임기 말 격려성 ‘수학여행’이라든가, 후반기 의장단 구성을 앞둔 결속력 강화 등의 해석이 그런 것들이다.
워크숍으로 포장한 뒤 외유성 여행을 한 게 뻔하다 할 것이다. 집행부 예산을 감시해야 할 의원이 시민 혈세를 자신을 위해 펑펑 써대는 뻔뻔함에 기가 질린다.
정읍시의회의 한 시의원은 동료 여성 시의원을 성추행한 혐의로 최근 검찰에 송치됐다. 식당에서 동료 여성의원에게 성적 수치심을 느낄 발언을 하고 이 여성의원의 손을 잡아당겨 포옹하려는 등의 추행을 했다는 것이다. 시민단체들이 “가해자의 의원직을 제명하라”고 정읍시의회와 더불어민주당에 촉구했지만 묵묵부답이다.
또 김제시의회의 일부 남녀 시의원간 불미스런 일탈 의혹이 지역사회에 퍼져 회자되고 있다. 이 사건은 경찰이 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의 지방의회는 민주당이 독식, 의회내 견제기능이 작동되지 않을 정도다. 자정기능도 잃었다. 독선적 운영과 실추된 윤리의식이 계속된다면 결국 화살은 중앙당에 돌아간다. 2년 뒤엔 지방선거다. 일탈행위와 도덕적 해이에 대해 중앙당이 나서서 강력히 제재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