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포스트 코로나19’ 대처 시의적절하다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방역체계가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방역’으로 전환된 가운데 전북도가 ‘포스트 코로나19’ 에 대처한 정책을 제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정부가 당면 경제 위기 극복과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형 뉴딜’을 추진하는 가운데 정부 방침을 지방정부 차원에 접목시킨 보완적 성격의 전략인 셈이다. 코로나19로 급변하는 상황에서 발빠르게 적극적인 행정을 펼치기 위한 시의적절한 대응으로 받아들여진다.

송하진지사가 지난주 기자회견을 갖고 발표한 대책은 경제활력 부문 5개 대책과 일상성(日常性) 회복 부문 3대 대책으로 요약된다. 지역의 코로나 사태 위기를 경제 활력과 일상 회복 투 트랙으로 극복해나가겠다는 복안이다.

세부적으로는 경제활력 분야에 △경제활력화 비상대책위 구성 △착한 소비로 서민경제 안정화 △역동적 경제활동 추진 △안정적 고용유지와 일자리 키우기 △미래 혁신성장 산업 집중 육성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일상화 회복 대책으로는 △생활의 과학화 △공공의료 체계 구축 △감염병 피해 사각지대 해소 등을 목표로 삼았다.

전북도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효율적인 방역 대응으로 전국에서도 가장 적은 지역 감염환자가 발생해 ‘청정 전북’ 이미지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까지 집계된 확진자 19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해외나 대구 등지에서 이동해 온 환자인 사실이 이를 방증해준다.

하지만 전세계 경제 시스템이 쇼크 상태에 빠지면서 전북 역시 피해에서 비껴갈 수 없는게 현실이다. 자영업자나 소상공인은 말할 것도 없고 기업들도 한계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북의 주력산업의 하나인 자동차의 지난 1,2월 수출 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1%나 감소한 사실이 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전북도의 대응 전략중 주목되는 시책이 산·학·연 각계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경제 활력화 비상대책위원회’다. 콘트롤 타워 역할로 위기에 신속히 대처하고, 적절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전북도의 ‘포스트 코로나19’ 대책이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리고, 도민들이 안심하고 생업을 이어가는데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기능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