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방역과 코로나 후속대응이라는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기 위해 효율적인 업무 분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2일 전주시에 따르면 사상 초유의 코로나19 사태에 공무원들이 수개월간 비상근무 체제로 방역, 재난소득·지원금 지급, 고용유지, 소상공인 지원 등 실무를 진행하면서 국별로 업무가 다소 혼재돼 있다.
코로나 감염 방지·방역 대응과 관련해 접촉자·자가격리자 관리는 기획조정국에서, 확진환자 및 선별진료소 관리는 전주시보건소가 맡았고 시설 방역·점검은 신성장경제국·생태도시국·시민교통본부 등 모든 부서가 참여했다. 초기 전주시보건소장의 공석으로 기조국장이 대신했던 코로나19 브리핑은 보건소장 부임 후에도 기조국장이 맡았다. 11일부터 철수하려다 연장한 전주역·버스터미널 내 공무원 교대 방역도 진행중이다.
혼재된 업무로 공무원들의 피로도는 극에 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 조직을 방역·민생안정 중심으로 업무의 이원화·체계화를 통한 효율적 운영이 요구된다.
전주시 경제총괄자문관·전북연구원 등 전문가들은 “코로나19의 2차 팬데믹도 예상되는 등 사태 장기화에 따라 방역망과 함께 지역사회 2차·3차 타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행정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선 보건소·시민안전담단관 중심으로 격리자 관리·방역 업무를 집중하고, 신성장경제국·생태도시국·사회연대지원단이 나눠 취합하는 착한건물주 운동 등 여러 부서가 맡은 업무는 일원화하는 방안이 효율적 대안으로 꼽힌다.
인천시의 경우 코로나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 총괄관리, 방역의료, 생활방역팀 등 3팀 23명 규모다. 일부 방역·점검 등은 단기 공공일자리로 전환하는 것도 대안이다.
이는 약 5개월간 이어진 코로나 사태로 지친 공무원들의 근무 안정화·조직 건강성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김 시장은 최근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오후 6시 이후 부서 PC전원 끄기를 제안했다. 이태원발 감염사태 후 다시 방역 강화에 돌입하자 조직의 과부하를 염려해서다.
전주시 관계자는 “전례 없는 사태 속에서 전주시 공무원들이 시민 건강과 안전을 위해 헌신해 왔다”며, “건강한 조직을 위해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은 저녁있는 삶을 보장하도록 PC셧다운제, 특별휴가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