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형 재난기본소득 선정 심사로 211억 원이 지역사회에 풀리게 되면서 코로나19 직격탄을 받은 전주 경제의 숨통이 트일지 기대를 모은다.
14일 전주시에 따르면 ‘전주형 재난기본소득’에 5만 1626명이 접수했고, 심사 결과 4만 125명이 52만 7000원씩 지급 받게 됐다. 이에 지역에 풀릴 예산 규모는 211억 4587만 5000원이다. 이중 81억 3100만원(11일 기준)이 소비됐다.
재난기본소득은 특히 동네·골목상권 활력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원금은 주로 동네 슈퍼마켓과 식당, 병원 등에서 사용됐다. 재난기본소득이 담긴 ‘함께하트 카드’사용처를 분석하면 슈퍼마켓이 30억 2400만원으로 전체 사용금액의 3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음식점 18억 2800만원(22%), 병원 5억 7800만원(7%), 의류 3억 8900만원(5%), 주유소 3억 4500만원(4%), 정육점 2억 8700만원, 제과점 1억 1400만원, 안경점 1억 1200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전주시 관계자는 “사용자들이 지원금을 생계와 직결되는 식료품과 생필품 구입을 위해 썼다”면서, “가계에 숨통을 열어 준 것은 물론 코로나19로 인해 텅 비었던 상가와 골목상권에도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고 말했다. 가계경제 몰락이나 가계부채 증가를 막은 효과도 있다고 분석했다.
전주 소상공인들도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다.
시가 지난달 함께하트 카드 사용처 100개소를 대상으로 진행한 간이 설문조사 결과, 절반인 50곳이 전주형 재난기본소득으로 인해 매출 상승을 체감했다고 응답했다.
전주형 재난기본소득 지급 대상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시가 전주형 재난기본소득 신청·선정을 마무리했지만, 재검토 대상자를 대상으로 이의심청 및 재심사를 한다고 밝혔다. 재검토 대상자는 기준 미달자를 제외하고 서류 미비 등으로 판정이 어려운 인원을 추린 것이다. 시는 오는 22일까지 전체 신청자 중 재검토 대상자로 분류된 나머지 1만 1501명에 대해 재분류 작업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