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교육 재성찰 기회 가져야

신동화 전북대학교 명예교수

며칠 전 일간 신문에 2020년 서울대 합격자의 전국 출신고교별 합격자 수를 발표하였다. 특정 대학합격자 수를 기준으로 비교, 거론하는 것은 거북하나 이 현실이 불편한 사실이다. 이 결과를 보면 우리 전북도의 교육현실을 있는 그대로 한번 재성찰해야하는 이유를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합격자 수에 따른 분석을 보면 서울대에 20명 이상 합격시킨 고교는 22곳이고 이 중 특목고, 자사고가 19곳으로 특정목적을 갖고 설립한 고교비중이 월등히 높다. 이 통계에서 눈여겨 볼 것은 비교 선택한 일반고 49개교, 자율형 22개교, 외고·국제고 19개교 등 총 90개 고등학교 중 전북도 소재 고등학교는 자율형 사립고 중 단 1개교가 이름을 올렸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가 우세하나 우리도와 여건이 비슷한 충남북, 광주, 경남 등의 합격자 수가 상당히 높은 것에 대하여 우리 도 학생의 합격률이 이렇게 낮은 이유를 다각도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지역은 물론이고 국가도 교육에 기반을 둔 인재육성이 장래발전에 가장 큰 자산이요 희망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세계는 우수한 인재육성을 위하여 교육제도를 바꾸고 교육투자를 늘리면서 영재육성에 국력을 집중하고 있다. 인간과 사회구성원의 능력을 평가할 때 여러 기준이 적용될 것이나 이탈리아 사회경제학자인 빌 프레드 파레토(1848)이론을 참고할 가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구성원 중 20%가 전체 지식이나 부의 80%를 차지하고 이들이 80%를 먹여 살린다는 이론이다. 이런 현상은 사회가 전문화됨으로서 비율간격이 더 벌어지고 있는 경향이다. 미국의 경우 빌 게이츠 한 사람이 자국이나 세계경제에 끼치고 있는 영향을 보면 탁월한 극소수가 나라경제와 산업발전에 기여도는 모두가 인정하고 있는 현실이다. 우수한 몇 사람이 수많은 사람을 먹여 살리고 사회 환경을 바꾼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도의 교육도 이제 평준화보다는 수월성을 북돋우는 여건을 조성하는 쪽으로 큰 방향을 잡았으면 한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모든 분야에서 평등하지는 않다. 이미 탄생의 여건이 다르고 지능의 정도도 같을 수가 없다. 그러나 사람의 지능에 기반을 둔 개개인의 특기와 특성은 차이가 있으며 특정한 분야에서는 다른 누구보다도 우월하고 차별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학생별 특기를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북돋우고 특성에 맞게 방향을 제시 할 책임은 교육에 있다.

세계교육은 개성화교육 쪽으로 흐르고 있음을 감지해야한다. 더욱 IT와 AI가 우리 생활에 침투하면서 한 분야에서 탁월하면 그 능력을 가지고 개인의 발전은 물론 사회와 국가에 크게 기여를 할 수 있다. 급격히 변하는 국제사회에서 모든 사람의 요구에 부합하는 평준화라는 인기영합적인 교육개념에 침착해서는 이 시대가 요구하는 창조적이고 독창적인 인재육성은 어렵다. 우수한 원목들, 우리 학생들의 능력을 자기가 갖고 있는 특성을 최대한 살리도록 분야별 특화교육으로 큰 방향을 잡고 고교도 특성화하여 차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수하고 독창적인 각 분야의 몇 명이 지역민과 전 국민을 먹여 살릴 수 있다. 능력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획일적인 평준화제도로는 경쟁력 있는 독창적인 인재육성은 어렵다. 경쟁은 거북하지만 인류가 지금같이 발전 한 원동력이다. 선의의 경쟁을 통하여 조기에 적성에 맞는 분야를 찾도록 도와주고 자기선호분야에서 몰입하고 즐길 수 있는 교육제도의 도입을 기대한다.

/신동화 전북대학교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