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미뤄졌던 등교개학을 하루(19일) 앞두고 문득 드는 의문이다. ‘전북교육청의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은 적절했나 하는 것이다.
복기해보면 김승환 교육감은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창궐할 당시 “마스크는 안쓰고 개인 위생만 철저히 하면 된다”라고 개인 SNS와 회의석상 등을 통해 누누이 말했다.
그 근거는 마스크를 안 써도 된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당시 지침이었지만, WHO는 한달도 안돼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면서 자신들의 판단이 틀렸다는 것을 사실상 인정했다. 이후 김 교육감의 마스크 언급은 확연히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그는 마스크를 쓰지 않고 있다.
3월 초 교육부가 등교 개학연기를 발표하자 김 교육감은 “등교개학을 연기하지 않아도 된다. 팬데믹 상황에서 개학한 싱가포르를 보라”라고 공공연하게 말하고 다녔다.
하지만 싱가포르는 등교수업이후 확진자가 폭증했고, 재 휴교 조치에 들어갔다.
황금연휴기간 이태원 발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일선교육현장과 학부모 사이에서는 이태원에 다녀간 교직원과 원어민교사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심지어 5차 개학연기로까지 이어졌다.
전북교육청은 일부 언론의 질문에 따라 이태원동에 다녀간 교직원과 원어민 교사들 현황을 파악했지만, 김 교육감의 명확한 수 공개 금지 방침에 따라 정확한 인원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유는 ‘개인 인권 침해 우려’였다. 그러면서 “일부 원어민교사들이 방문사실을 조사하는데 반발감을 느끼고 있고 당사자들이‘가서는 안될 곳을 갔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 안된다고 본다”고 했다.
하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이태원 동이나 클럽에 간 사실을 숨기고 적절한 방역조치를 받지 않는 것이지 개인의 성적취향이나 해당 지역을 간 사실을 지적하려 한 것이 아님을 누구나 알고 있다. 여전히 전북교육현장의 교직원과 원어민 교사들의 이태원 동 방문자 수나 음성판정자 수는 정확하게 발표되지 않고 있다.
이 과정에서 도교육청 대변인은 인원수 공개여부를 교육감과 상의한 뒤에야 비공개하는 촌극을 보였다.
이를 두고 소수의 권익은 대변하면서 감염병에 대한 학부모, 교육현장에 대한 국민 불안감, 도교육청 방역 대응에 대한 신뢰는 뒷전이라는 말이 나왔다.
18일에는 서울 등 다른 지역에서는 등교를 앞두고 교육감이 직접 브리핑을 하면서 학부모와 일선교육현장의 불안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했다.
반면 전북교육청은 대언론 브리핑 계획조차 없다가 하루가 지난 19일 “교육부 지침에 따라 학교장이 상황에 맞게 대응하라고 했다”발표하는데 그쳤다. 이 배경에는 선 대변인 브리핑 개최여부 논의, 후 김 교육감의 미개최 주문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말을 두고 어떻게 보면, 행여 유사시 ‘전북교육청은 교육부 지침대로 했을 뿐, 책임은 일선학교와 교육부에 있다’라는 책임 회피성 말로도 풀이될 수도 있는 발언이다.
뿐만 아니라 다른 전북 교육현안 브리핑에서도 이 같은 일은 비일비재해 손으로 꼽을 수 없을 정도이다.
코로나 19상황을 겪으면서 느낀 전북교육청의 대응에 대한 자문(自問)의 답은 이것으로 요약될 수 있겠다.
‘진보교육감으로 불리는 전북교육수장이 있는 전북교육청의 코로나19 대응은 지식의 결여가 아닌 오만과 아집, 그리고 교육부 핑계 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