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에서 전통시장 상인들을 상대로 한 대규모 대부 사기사건이 발생했다. 고수익을 미끼로 상인들에게 투자를 유도한 후, 대부업체 대표가 300억 원 가량을 갖고 잠적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주로 전주의 전통시장인 중앙시장과 모래내 시장 상인들이 피해자다. 이들 피해자들과 대부업체 직원 14명은 지난 22일 경찰에 각각 고소장을 접수했다.
이 같은 금융사기는 건전한 지역공동체를 파괴하는 독버섯과 같은 존재다. 경찰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 피해자와 피해액을 파악하고 잠적한 대부업체 대표를 검거해, 시장상인들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대부업체 대표는 수년 동안 상인들과 거래하면서 신용을 쌓았다고 한다. 이 대부업체는 전주 중앙상가와 모래내 시장, 서부시장 등을 중심으로 연이율 7%의 일수를 운영해 왔다. 그러다 올해 1월 중순 상인들에게 1000만원을 투자하면 월 40만원의 이자를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해 상인들의 돈을 끌어 모았다. 높은 이자에 끌린 상인 수백명이 투자에 참여해, 앞으로 경찰수사가 진행되면 피해액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상인들은 비상대책위를 만들어 공동으로 대처하는 한편 대부업체 직원들도 사기에 동참한 것으로 보고 고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러한 대부사기는 가장 전형적이고 고전적인 사기 수법 중 하나다. 평소 이자를 꼬박고박 지급, 믿게 한 후 많은 돈을 투자토록 해 튀는 방식이다. 이 대부업자는 지난해 11월 인천에서도 비슷한 수법으로 범죄를 저질러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최근 열린 공판에는 불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영세상인의 피 같은 돈을 갖고 사기 친 대부업자를 한시바삐 잡아들여 엄벌에 처해야 마땅하다. 특히 맡긴 돈이 회수될 수 있도록 수사에 속도를 가해야 할 것이다. 영세 상인들이 하루하루 고통 속에서 힘겹게 모은 돈인 만큼 불안감과 상심이 얼마나 크겠는가.
하지만 상인들도 반성할 점이 없지 않다. 현재 시중의 예·적금 금리가 1-3%에 불과한데 이 보다 몇 배나 높은 금리를 준다고 할 때는 의심부터 했어야 했다. 달콤한 유혹의 함정에 빠져 적게는 수백만 원에서 수억 원에 이르는 돈을 선뜻 내주었다. 이러한 피해는 사기범을 잡아 되돌려 받지 않는 이상 구제 받기 어려운 게 그동안의 상례였다. 때문에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함은 물론이다. 경찰은 이번 사건을 최대한 빨리 수사해 지역경제에 주름이 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