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위안부’ 이후의 삶 그래서 더 안타까웠던 김순악

전주국제영화제 박문칠 감독의 ‘보드랍게’
하루 30~40명 일본군에 성포로 생활
해방 이후의 삶 더욱 좌절
김 할머니의 인생 역경 애니메이션 재구성도

영화 '보드랍게' 속 김순악 할머니의 생전 모습.

“김순옥, 김순악, 요시코, 마츠다케, 기생, 마마상, 식모, 엄마, 위안부, 할머니…”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 중인 우석대 교수인 박문칠 감독의 영화 ‘보드랍게’의 첫 장면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였던 고(故) 김순악 할머니의 삶을 그린 이 영화는 첫 대사를 통해 김 할머니의 삶을 모두 엿볼 수 있다. 영화는 그가 ‘위안부’ 피해자라고 대한민국 사회에 목소리를 내기까지의 인생 역경을 애니메이션으로 구성했다.

1928년 경북 경산에서 태어나 가난한 유년기를 보내던 김 할머니는 실공장에 취직시켜준다는 말에 속아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다. 서울을 거쳐 중국 하얼빈, 지자루(치치하루), 북경 등 전쟁터에서 일본군을 상대했다. 그 곳에서 하루 평균 3~5명을 상대했으며, 주말에는 30~50명의 넘는 일본군들의 성포로가 되어야만 했다. 식사는 소금으로 간을 맞춘 주먹밥이었으며, 밥먹을 시간도 없어 일본군과의 성관계 중 조금씩 먹었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은 영화에서 시민모임 회원들이나 위안부 인권운동을 하고 있는 활동가들의 입을 통하거나 김 할머니의 생전 인터뷰 내용 등을 통해 전해졌다.

이 영화의 또 다른 핵심은 해방 이후 절망적이었던 김 할머니의 삶을 깊게 조명하고 있다.

김 할머니는 일본군에 끌려간 뒤 해방이 되자마자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지만 고향으로 내려갈 엄두를 내지 못했다. 고향에는 실공장에 취직해 돈을 벌러 간다고 이야기 했는데, 고향으로 내려갈 돈도 없고, 고향에 귀향할 자신도 없어서다. 그는 며칠을 서울역 앞에 쪼그려 앉아있었다고 한다. 그러던 중 조선사람이 한 그릇의 따뜻한 국밥을 사준 후 김 할머니를 다시 소개소에 팔았다. 해방이후 성포로 생활을 청산하는 듯 싶었지만 다시 고통이 시작됐다. 서울, 군산, 여수, 부산을 오가며 기생, 밥장사, 식모를 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극단적 선택을 하려고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김 할머니가 이를 악물고 버틸 수 있었던 것은 ‘가족’이었다. 이러한 김 할머니의 일대기를 여성 활동가들의 목소리로 따라가는 삶은 개인이 감당하기에 너무나 험난하고 억울했다. 그래서 보는 내내 분노하기도, 울컥하기도 한다. 하지만 카랑카랑 울리는 생전 할머니의 목소리는 힘이 있고, 그가 직접 그린 꽃그림은 여백이 많아 보드랍다.

박문칠 감독은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김순악 할머니의 삶을 특별히 포장하거나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전달했다”면서 “영화를 통해 단순 위안부 피해자를 묶어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힘들고 억울했던 삶을 알아봐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