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간 연구기능 이관논란이 국립감염병연구소 유치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란 우려에 대해 전북도가 ‘유치활동이나 운영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또 질병관리본부를 질병관리청으로 승격하되 연구기능은 보건복지부로 이관하는 정부방안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전면재검토’를 지시함에 따라 전북이 유치할 국립감염병연구소는 질병관리청 산하 직속기관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7일 전북도에 따르면 당초 복지부 산하로 예상했던 국립감염병연구소가 질병관리청 소속이 된다 하더라도 전북입장에서 크게 달라지는 점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북도 관계자는 “국립보건연구원의 복지부 이관 문제와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를 국립감염병연구소로 승격시키는 일은 별개의 문제” 라며 “국립감염병연구소 유치활동은 기존대로 문제없이 진행될 것” 이라고 밝혔다.
또 도는 전북대의 요구사항을 정리한 후 정부에 이를 반영해줄 것을 건의할 예정이다. 한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질병관리본부의 역할이 커지면서 본부를 보건복지부 외청인 질병관리청으로 독립시켜 감염병 대응에 신속성과 전문성을 더하겠다는 게 정부의 생각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감염병 연구의 핵심조직인 국립보건연구원을 보건복지부 소속으로 변경하는 방안이 제시되면서 감염병 예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당초 취지가 퇴색했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이에 문 대통령은 연구기관을 복지부로 넘기는 방안을 사실상 백지화시켰다.
이 때문에 향후 국립감염병연구소 분원 운영방안 등 연구기능 역시 감염병 대응의 사령탑 역할을 하게 될 질병관리청에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분원을 유치하는데 주력하고 있는 전북 입장에서는 감염병 연구를 잘 수행하기 위한 의사결정권과 함께 이에 걸 맞는 연구조직 및 인력확충을 약속받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