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회, 의정활동 기록·관리 '허술'

사무국, 의회 출석·활동 등 정보 관리 시스템 부실
홈페이지에 정보 누락돼 혼선·의원 활동 왜곡
참여자치 전북시민연대 “1년 전 지적, 여전히 문제의식 없는 게 더 문제”

 전주시의회가 의원들의 의정활동 기록·관리를 허술하게 해 의회 스스로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주시의회는 지방의원들이 선출직인 만큼 의원들이 업무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에게 공개하고 있다. 회의 출석 현황과 회의록, 시정 질의, 5분 발언, 조례발의 현황 등을 의원 활동현황을 공개한다.

그러나 사무국이 홈페이지에 올린 자료가 부정확해 시민들에게 혼선을 주고 있다.

회의록이나 영상 업로드가 제각각이어서 정확한 집계와 분석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회의록 검색과 달리 인터넷 방송 검색 방식에서는 일부 시의원들의 시정 질의와 집행부 답변 활동이 업로드 되지 않았다. 의원별로 허옥희 2건, 김남규 1건, 김윤철 1건, 박선전 1건, 최명철 1건 등이 누락됐다.

홈페이지 정보 현황이 제각각인 가운데 전주시의회 사무국에도 의원별 활동 자료를 축적·분석하는 시스템을 갖추지 않는 등 내부 자료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시정 질의와 5분 발언을 의원별로 주요 내용과 관련 부서, 추진 현황을 데이터화하는 전주시와는 대조적이다.

시의회 사무국은 취재를 시작하자 뒤늦게 문제점을 인지하고 홈페이지를 수정했다.

문제는 단순히 홈페이지의 오류가 아니라 부실한 정보·홈페이지 관리로 의원들의 의정활동을 왜곡하고 시민의 알 권리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의회 신뢰 저하로 이어진다.

지난해에 동일하게 지적된 문제인데 전혀 개선되지 않으면서 사무국 업무 능력에 대한 질타도 제기된다.

참여자치 전북시민연대는 “지난해 제11대 전주시의회 출범 1주년을 맞아 실태조사를 하고 회기 누락, 문서 정리 부실 등을 지적했지만 여전히 관리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며 “문제가 드러났는데도 제도 개선을 하지 않은 것도 문제지만, 정보에 대한 신뢰 회복을 위해 개선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조차 없다는 게 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전주시의회 사무국 관계자는 “미처 파악하지 못한 시스템상의 오류였고 곧바로 수정 조치를 취했다”며 “기본적으로 모든 정보는 홈페이지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