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연을 끊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용서를 구해야 할까.
박천권 작가가 이들을 위한 지침서인 <아무도 모르고 누구나 다 아는 것> (크레파스북)을 펴냈다. 아무도>
이 책은 보통의 평범한 일상 속에 숨 쉬는 권력, 그리고 그 권력의 부정함 속에 일생을 송두리째 빼앗겨버린 한 소시민의 영혼을 조망한다. “삶이 나를 속일지라도 결코 노여워하거나 슬퍼하지 말라”는 푸쉬킨의 잠언은 통할 것인가. 언제까지 우리는 그들만의 세상에서 쓰다 버려지는 엑스트라 처럼 살아야 하는가. 달걀로 바위치기 같은 세상일지라도 끊임없이 두드려야 한다. 거짓은 결코 진 실을 이길 수 없기 때문이다. 그것이 곧 희망의 시작이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책의 주인공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함정에 빠지고, 자신이 무죄임을 증명하기 위해 발버둥치면 칠수록 계속되는 고통의 시간들은 과연 누구의 책임이며, 누가 감당해내야 하는 것인가. 세상의 정의는 아직 죽지 않았다고 믿는다. 달걀로 바위치기 같은 세상이라고 하지만 살아남는 자에겐 아직 희망은 존재한다. 이런 내용을 통해 이 책은 우리가 좀 더 용기를 내어 정의를 지켜내야 할 마땅한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박천권 작가는 익산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원불교와 접하며 종교에 귀의했다. 원광대학교병원서 25년간 근무했고, 전라북도를 사랑하는 ‘전사모’ 회장, 전북지방노동위원회 심판 조정위원,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자문위원 등 다양한 지역사회활동을 벌였다. 현재는 어공으로 다시 새로운 삶을 시작, 전라북도 세종사무소 협력관으로 근무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