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가끔 나를 싫어하는 사람들, 뒤에서 흉을 보는 사람들, 시샘하는 사람들을 떠올리면서 왜 그랬을까 하고 생각해본다. 내가 그리 잘 못 살았었나? 아니면 하는 짓들이 미워서였을까. 어찌했든 그들이 그렇게 말하는 데는 상당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사람들은 하루에도 수차례에 걸쳐 거울 앞에서 웃어 보이기도 하고 옷매무새를 고쳐도 보고, 이런저런 표정을 바꿔가며 만족할 때까지 자신을 속이려든다. 거울을 보며 더 나은 모습을 보이려는 것도 결국은 사람들과의 관계정립을 잘해보려는 의도일 것이다.
우리는 날마다 여러 사람을 만나면서 삶을 이어가는데 스쳐가는 사람까지 헤아린다면 엄청난 숫자일 것이나, 그들 중에서도 연결고리의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에게만 관심을 갖는다.
‘아름다운 진실’은 마음가짐을 바꾸면 자기를 바꿀 수 있다고 했다. 인간은 평생 끊임없는 내면의 갈등과 크고 작은 선택을 해야만 한다. 언어사용의 선택, 사랑의 선택, 직업의 선택, 친구의 선택, 가치관의 선택 등 헤아릴 수 없을 지로(支路)의 순간들, 이 모든 것들은 이성적 사회적 제약과 심리적인 순간의 갈등에서 일어난다. 후회와 더불어 자신의 선택과 행동은 도덕과 사회적 기준에 맞춰 평가를 받는다.
사회생활에서는 소위 규정이라고 하는 도덕이나 규칙 등이 상식의 선을 강제 받아야하지만 우리내부에서 꿈틀대는 ‘욕망과 쾌락, 질투와 미움’이 저 깊은 곳에 도사리고 있어 이것들을 합리적인 이성으로 억제하기는 매우 복잡한 틈바구니에서 삶이 지속된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말고 오직 자신에 대해 만족하라.’는 의미의 오유지족(吾唯知足)은 즉 작은 것으로 만족할 줄도 알아야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뜻이다. 지극히 평범한 것들조차도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알량한 자존심과 나와는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는 일상의 무관심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이다.
사람들은 무의식중에 다른 사람과 비교할 때 자기에게 유리한 기준만을 적용하고 있음을 의식하지 못한다. 나이가 든 만큼, 지식과 지혜가 쌓인 만큼, 살아 온 세월만큼의 경륜으로 냉정하게 객관적인 잣대로 자신을 가늠해야만 품격을 높여가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영국의 기업인 리처드 브랜슨의 성공을 위한 열 가지 중에 “내 생각을 믿어라. 자신의 계획과 생각을 스스로 믿고 자랑스러워하지 않는다면 누가 그렇게 해주겠나”라고 했는데 이 조언을 잘못 해석하다보면 이기주의자가 되어 사람들에게 따돌림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기가 자기를 믿지 못하거나 버렸을 때, 자괴감과 고립의 함정이 작용할 수도 있다.
지난 1월 20일경부터 오랜 시간 동안 피로에 지친 정신력과 움츠러든 경제가 우리들을 괴롭게 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의 의미는 고립이 아닌 군중 속에서의 세상을 더 깊고 더 넓게 바라보는 자기성찰이 가능한 고독을 회복하는 시간이 아닐까 한다. 옆에 있는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느낄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하면서 우리는 누군가에게 의존해 살고 있음을 의식하자.
혼란을 불러온 팬데믹으로 인해 주위환경의 갑작스런 변화는 추억과 질서의 소중함을 알게 해주면서 익숙했던 생활문화가 우리들 곁에서 멀어져가고 있다. 생각과 삶의 틀이 어쩔 수 없이 변화해가는 현실에서 아이러니는 필연의 가면(假面)이 되어버린 상황을 이해해가며 펼쳐진 자신의 생활에서 만족을 느껴보자.
/김형중 전 전북여고 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