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경제 위기에서 고용 유지를 약속하는 ‘해고 없는 도시’ 동참 기업이 다양한 분야에서 확산하고 있다. 이달 말부터 ‘고용유지 특별지원금 대출’도 시작할 예정이어서 동참 기업은 더욱 늘 것으로 보인다.
전주시는 23일 서비스업 31개, 제조업 33개, 도소매업 16개, 건설업 15개 등 138개 기업 대표들과 코로나19 고용위기 극복을 위한 ‘해고 없는 도시’ 상생협약을 비대면으로 체결했다.
상생협약 기업은 지난 5월 13일 1차 협약을 체결한 79곳에서 총 217곳으로 늘어났다. 이들은 코로나19 종식 시까지 근로자 해고 없이 고용을 유지하고 고통을 분담키로 약속하며 기업과 근로자, 지역 구성원들이 함께 지혜를 모아 현 위기를 이겨내는데 노력키로 했다.
시의 경우 상생기업에 대한 △고용유지 경영안전 자금 이차보전 △중소기업육성자금 상환도래 기업 이차보전 연장지원 △고용유지지원금 사업주 부담분 지원 △고용보험 가입 컨설팅 지원 △고용유지 교육·훈련 참여기업에 교육·훈련수당 지원 △지방세(취득세·지방소득세 등) 유예 등을 통해 고용안정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또 시가 추진하는 기업맞춤형 해외마케팅 지원사업과 중소기업 환경개선사업 등에 참여할 경우 가산점을 부여키로 했다.
업체당 최대 2억 원까지 0.1% 이자로 대출해주는 ‘고용유지 특별지원금 대출’도 이달 말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기업들이 가장 요구했던 지원책으로, 23일 전북신용보증재단과 전북은행 등의 이사회 통과 후 본격화된다.
하지만 이자율만 다를뿐 대출 조건은 기존과 동일해 대출 조건도 코로나19 사태에 맞게 보완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 매출·빚에 따라 대출이 불가하거나 대출 가능 금액이 한정되다보니 정작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기업 중 혜택을 보지 못할 우려도 있어서다.
전주시 관계자는 “원칙적으로 업체 자금현황이 좋지 않으면 대출이 어렵지만, 코로나19 피해를 입었음에도 빚이 많아 대출이 불가한 기업은 일부 금액 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