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경종호 시인 - 박성우 시인 '컵 이야기'

‘우-리’하고 천천히 입술을 열면 입안 가득 장다리꽃 향기가 들어와 고이는 말, 을 담은 책이 있다.‘커커’라는 주인공을 가진‘컵 이야기’가 있다.

‘커커’ 대체 무엇이 큰 것일까? 입일까, 귀일까, 하다가 그것은 귀였구나! 했다. 이 책은 시인의 우화고, 동화이니까. 시인은 듣는 사람이니까. 생각하니 눈일 수도 있겠다. 시인은 보는 사람이니까. 그러고 보면 시인은 들어주고 보아주는 사람같다.

나를 들어주고, 보아주었던 많은 사람들을 생각한다. 박성우 시인의 이 컵을 가만히 곁에 둔다. 이 컵에는 커다란‘안’이 있다. 그‘안’에‘존재’라는 우주를 한 방울 물방울로 담아 놓았다.

참 맑은 얼굴, 참 맑은 눈동자를 가진 시인은 화려한 치장을 하지 않았다. 단정하다. 주인공 ‘커커’가 되어 시인이 삶을 고스란히 보여줄 뿐이다.

쉽게 제 자리를 벗어나려 하지 않고 하늘과 밤과 낮, 새와 바람, 흙과 벌레의 말을 들어준다. 넝쿨이 무엇인가를 감고 오르다 감을 것이 없으면 자기 자신이라도 감고 오르는 그 힘으로 우리의 이야기를 따라간다.

세상은 이런 사소한 것들의 움직임이 만물을 이루어 간다는 것을‘들어주는 것만으로도’보여주려 한다.

책을 소개한다는 것은 꽤 조심스러운 일이 된다. 얇은 지식으로 그것을 포장하려는 것은 아닌지, 어설픈 사고로 그 책을 초라하게 하는 것은 아닌지 항상 염려하게 된다. 그래서 어설픈 수사 몇 문장으로 치장하는 것보다 그냥 이 책에 담긴 문장을 옮김으로 보다 더 가까이 안내하고 싶다.

‘외로움에 익숙해져 외롭지 않은지도 모르고 외롭지 않기 위해 외로워하지 않는지도 모른다’

‘둘은 숨기고 싶었을 자신의 모습을 떳떳하게 드러내는 일로 자신을 더욱 아껴주고 사랑해주었다’

‘버릇없이 구는 차차를 커커는 온전히 받아준다. 당연히 그럴 수도 있다고 여기며,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여기며’

‘내가 먹을 거라고 생각하면 대체로 다 만족스러운데 너에게 줄 거라고 생각하니 다 부족해 보여. 이런 게 사랑인가?

‘외로울 때면 외로운 노래를 듣다가 울었고 외로운 노래를 따라 부르다가 더욱 외로워져서 울었다’

‘음, 그냥 외로우면 외로운 대로 시간을 보내면 되지 않을까? 외로움이 지겨워하다 떠날 때까지’

‘자신이 이 장면을 놓치지 않고 볼 수 있게 된 것에 감사하며 울었고, 자신이 아니었다면 꽃잎을 아무도 봐주지 않았을 것 같아, 꽃잎을 안쓰러워하며 엉엉 울었다’

‘놓쳤던 마음 하나를 겨우 발견했을 뿐인데 걸음이 경쾌해지고 머리가 상쾌해진다’

이 책의 주인공 커커는‘나’이고‘너’가 되어‘우리’를 보여준다.‘이렇듯 저마다 자리에서’들어주고, 담아주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그렇게 곁에 있어 준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