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우리 사회와 삶은 어떻게 변할까.
시사·인문·학술 계간지 <사람과 언론> 이 발간한 2020년 여름호(9호)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삶과 사회, 어떻게?’라는 주제로 특별기획을 엮었다. 사람과>
김병균 평화통일을여는사람들 공동대표는 “사상,철학, 종교, 비주류 취약계층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코로나19의 근복적인 원인은 기후위기와 관련이 있으며, 코로나19는 사회적 약자일수록 큰 고통을 안겨줬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의학과 과학 그리고 경제적으로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영곤 전국대학강사노동조합 대표는 “임계점에 이른 인간의 기후와 생물 다양성 파괴에 대한 자연의 역습”이라고 봤다.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김다희 씨는 언택트시대 도래에 코로나19가 불을 붙인 것으로 봤다. 김 씨는 “코로나19 속 우리의 일상을 메워 준 것은 다름아닌 스마트폰이었다”면서 “전국적으로 시행된 온라인 개강, 각종 챌린지의 유행, 작은 화면으로 즐기는 영화와 뮤지컬, 예술작품까지 그 분야는 실로 다양했다. 이러한 변화는 엘리트문화의 붕괴를 시사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