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난에 이른 장마까지…농민들 ‘울상’

전북지역 농민들이 이른 장마에 코로나19여파로 인력난까지 겹치면서 울상을 짓고있다.

품목별로 일부는 가격이 폭락하는 반면 출하량과 재배면적 감소로 일부 농산물은 폭등하는 등 가격이 요동을 칠 것으로 보이면서 수급조절에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강수량, 장마 기간 등에 따라 지역마다 차이는 다르겠지만 전반적으로 배추, 무, 상추, 당근 등 같은 밭작물에 큰 영향이 끼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장마가 장기화 될수록 과일, 과채들의 가격 상승 등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코로나19로 인해 수확 문제가 발생했지만 소비까지 원활하지 않아 농민들에게는 고난으로 다가온다.

특히 하우스 재배가 주를 이루는 농민들에게는 내부에 습기가 생기면서 파생되는 피해는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내 농민들은 소비자 가격이 오른다고 이익은 커녕 장마가 오면서 침수·강풍 피해에 노심초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진안에서 오이, 고추 등 각종 농산물을 재배 중인 김한국씨는 일용직·외국인 노동자 감소로 생산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설상가상 갑작스러운 장마가 오면서 습기로 인해 균들이 발생하고 병 발생률 상승에 걱정으로 가득하다.

특히 고추 같은 경우 비에 약해 탄전병이 우려되고 이에 따른 약 값도 부담스러운 정도라는 입장이다.

반대로 대표적인 여름 과일인 수박은 가격 폭락이 예상되면서 수박 농가들 매출에 빨간불이 켜졌다.

정읍에서 수박 농가를 운영중인 이석변씨는 생산량은 정해져 있지만 폭우로 날이 시원해지면서 수박을 찾는 발길이 줄어들 것이 가장 큰 걱정이다.

또한 수박에 물이 스며들면서 당분이 떨어져 맛이 없다는 이유로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당하는 문제도 애로사항으로 남는다.

인위적으로 물을 주는 경우 맛이 떨어지는 경우는 덜하지만 비로 인해 이미지 절감으로 이어질까봐 우려했다.

한편 올해 장마기간은 지난해와 동일, 강수량도 평년보다 비슷하거나 조금 적을 것으로 전망되며 지역마다 비가 꾸준히 오는 모습이 아닌 소나기 같은 형태를 보일것이라는 게 전주기상지청의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