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적 가치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이 전북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실효성 있는 정책 지원으로 양적·질적 양방향 모두 발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단순히 사회적기업을 늘리는 것이 아닌 생존할 수 있는 방안이 최우선이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3차례에 걸쳐 전북지역에서 새롭게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된 기관은 총 10개소로 집계됐다.
이는 1차 3곳, 2차 5곳, 3차 2곳이 지정되면서 전국(182곳)에서 중위권에 속하는 갯수다.
도내 사회적기업(인증+예비) 현황도 살펴보면 2016년 151곳, 2017년 173곳, 2018년 199곳, 2019년 252곳으로 조사됐다.
심지어 지난달 기준에만 253곳에 달하며 지난 5년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역할과 가치가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사회적기업 갯수가 늘어났다고 해서 긍정적 신호로만 해석할게 아니라 민관 협동으로 미래지향적인 사회적기업이 확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도와 지자체별로 사회적기업이 취약한 지역을 중심으로 교육과 지원 방안들을 마련하고 있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한계가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도내 A 사회적기업 대표는 “현재 지원금으로는 인건비를 충당하기에만 급급하다”며 “자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사업들은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측은 로컬푸드를 통해 도내 사회적기업들이 늘어난 영향도 있지만 단순한 지원이 아닌 단체장들의 중점 사안과 연계해 시너지효과를 불어일으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북지역은 소기업 대비 사회적경제를 차지하는 비중이 타 시·도에 비해 높아 공공구매 등 공기관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전북경제통상진흥원, 전북사회적경제연대회의 등 정부 및 지자체와 사회적기업 사이 중간조직이자 지원기관들의 역할론도 제기했다.
더불어 사회적기업들도 분명한 사회적 실현 가치를 보여줄 필요성을 요구하면서 일반 기업과 다른 특수성 및 이점을 보여한다고 강조했다.
전북도 사회적경제팀 오희연 팀장은 “최근 인사이동으로 정확한 업무 파악이 미숙한 상태다”며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성장하고 분별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 자체적인 사업을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