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청소행정을 둘러싼 진실공방이 오가며 논란이 연일 계속되고 있다.
전주시의회가 청소행정의 난맥상을 지적하고 나섰는데 전주시는 이미 충분히 납득할 수준의 설명이 끝난 내용이라고 맞서면서다.
16일 전주시의회 이경신 의원은 5분 발언을 통해 ‘전주시 청소행정의 난맥상’을 지적하며 개선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우선 폐기물 차량이 오가는 종합리싸이클링타운에 설치된 세륜 시설 미가동을 비롯해 이곳의 재활용품 선별 소홀로 인한 예산 낭비, 감축한다던 청소인력 증원, 청소행정의 중장기 기본계획 부재 등을 지적했다.
그는 “지난 1년간 청소행정은 조용한 날이 단 하루도 없었다”며 “각종 보조금 문제, 환경문제, 생활폐기물수거 방식, 수거비용 등 문제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져 왔다”고 비판했다.
반면 전주시는 이 의원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우선 종합리싸이클링타운에 설치된 세륜 시설은 건립공사 당시 사용했던 시설로 폐기물처리장에 의무설치 대상이 아니고, 이미 이 의원의 요구로 지난달부터 강제 운영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더욱이 재활용품 선별 소홀로 인한 예산 낭비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선별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저가형 재활용품이 외부로부터 지속 반입되는데 따른 위탁처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시는 청소인력을 연차적 감축하겠다는 계획에 따라 혁신도시와 에코시티, 만성지구 등 추가 필요인력을 충원하지 않고 조정해 정원을 늘리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 의원의 요구에 따른 세륜 시설 가동, 청소인력의 불가피한 조정 활용 등을 충분히 설명했는데도 공개석상에서 개인적 주장을 내놓는데 따른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올바른 행정운영을 위한 지적과 비판, 대안 제시는 반영할 계획”이라면서도 “이미 충분히 설명된 내용을 현재 잘못된 것처럼 공개적으로 비판한 것은 당혹스럽다. 다시 충분히 설명 드릴 예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