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김제를 대통합해 일자리 창출·인구 유입 등의 시너지 효과를 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양영환 전주시의원은 16일 5분 발언에서 “청년 유출이 심각한 상태에서 현재의 산업·일자리 준비로 몰락을 막기엔 역부족이다”며, “전주·완주·김제를 아우르는 통합만이 지역 소멸의 암울한 미래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양 의원은 14개 시·군 중 전북도청 소재지인 전주시마저도 먹거리 산업이 지지부진한 점, 행정통합을 이룬 타 지역의 성공적인 시너지효과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전주시가 향후 100년 먹거리로 공언한 탄소 소재 산업이나 기업유치가 아직 걸음마 단계이고 1000만 관광객이 방문하는 전주한옥마을은 지나친 상업화로 몸살을 앓으며 위기론이 거론되는 등 자생적 일자리 창출에 어려움 겪고 있는 것에 대한 해법도 통합이라고 강조했다.
청주시가 최근 10조 원대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방사광 가속기’를 재도전 끝에 유치한 배경에는 2014년 기초자치단체 통합 후 급격하게 성장한 인구·인프라 등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최근 대구와 경북이 인구 500만 이상 메가톤급 광영자치단체를 추진하는 것도 자치단체의 생존·발전을 위한 이합집산이라고 내다봤다.
양 의원은 “완주의 산업자원, 군산·새만금과 연계한 대중국 교역로의 김제, 전주의 문화·교육·관광자원이 결부된 시너지 효과는 결국 이들 지역에 이익을 골고루 나눠줄 수 있을 것”이라며 “그간 전주시·완주군의 행정구역 통합 시도가 3차례나 좌초된 만큼 더 치밀하게 시민 통합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