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코로나19 방역 사각지대로 떠오른 불법 다단계 및 방문판매사업체에 칼을 빼들었다. 도의 이번 조치는 코로나 확산 방지는 물론 무분별한 피해자를 양산하는 불법업체를 근절함으로써 경제정의를 실현한다는 의미도 갖고 있다.
21일 전북도는 코로나19 고 위험시설로 분류된 방문판매사업장 903곳은 매주 1회 이상 현장점검을 실시하며, 불법업체에 대해서는 신고센터를 상시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방문판매시설 관리를 강화하라’ 는 송하진 도지사의 특별지시에 따라 추진되는 것이다. 도는 지난달부터 도·시군 합동으로 전수조사를 완료했으며, 지난 15일부터 또 다시 의무 시행되는 전자출입명부 설치 점검을 중심으로 합동점검을 벌여왔다.
그러나 문제는 등록되지 않은 불법업체라는 게 방역당국의 인식이다. 이 때문에 도는 지난달 26일부터 ‘방문판매업 불법영업 신고센터’ 운영하며 관리 사각지대로 남아있던 미등록 방문판매업체 뿌리 뽑기에 돌입했다.
당국은 이들의 불법 영업행위는 물론 집합행사까지 사전에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이제까지 신고센터 운영을 통해 신고 된 불법업체는 전주에서만 5개소가 적발됐다. 도는 경찰과 즉시 합동조사를 실시해 이들의 영업을 막았다.
나석훈 도 일자리경제본부장은 “등록업체는 자발적인 방역수칙을 준수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불법영업행위는 엄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