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20년간 사과·복숭아·떫은감 생산량 증가

배·포도·단감은 감소

지난 20년간 전북지역 사과·복숭아·떫은감 생산량은 증가한 반면 배·포도·단감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수별 재배농가, 재배면적에 따라 생산량 증감세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30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새천년 이후(2000~2019년) 호남지역 주요 과수 생산량 변화’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사과 생산량은 4만 20톤으로 2000년(1만 2819톤)보다 212.2% 급증했다.

복숭아 생산량은 1만 3727톤으로 2000년(7761톤)에 비해 76.9%, 떫은감은 1만 1610톤으로 57.4%(2000년 7761톤) 증가했다.

반면 배 생산량은 1만 5308톤으로 2000년(2만 3364톤)보다 34.5%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포도 또한 1만 1278톤으로 61.0%(2000년 2만 8940톤), 단감은 422톤으로 85.6%(2000년 2929톤) 감소했다.

전년 재배농가로는 사과 2636농가, 복숭아 2272농가, 떫은감 2812농가로 2000년보다 168.4%, 18.5%, 167.0% 늘었다.

하지만 배 재배농가는 604농가, 포도 963농가, 단감 587농가로 각각 72.5%, 59.6%, 42.6% 줄었다.

같은 기간 사과 재배면적은 2698ha, 복숭아는 1345ha, 떫은감 1360ha로 2000년보다 220.4%, 119.4%, 14.9% 증가했다.

하지만 배 재배면적은 537ha, 포도 982ha, 단감 70ha로 각각 62.1%, 41.1%, 78.9%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수입산 포도가 늘면서 농가소득을 위해 복숭아, 사과로 대체작물을 이용한 것으로 보여진다”며 “떫은감은 단감보다 관리 용이 및 생산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곶감용으로 이용되면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