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 파업은 대란 없이 지나갔지만 오는 14일 대한의사협회 파업은 의료 공백이 우려된다.
대한의사협회는 국내 최대 의사단체로 동네의원 등을 운영하는 개원의가 중심이다. 회원이 13만여 명에 달해 다수의 동네병원이 휴업하면 혼란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대한의사협회는 정부가 추진 중인 의대 정원 증원, 공공의대 신설, 한방 첩약 급여화, 원격의료 시행 등에 대한 반발로 총파업을 예고했다.
전공의들이 먼저 강행했던 지난 7일 파업은 각 병원들이 무리 없이 진료를 소화했다. 병원마다 비상진료체계를 세우고 교수와 전임의들이 대체인력으로 투입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원의들의 파업은 동네의원 집단 휴업으로 이어져 혼란이 예상된다.
의사협회는 호소문을 통해 “정부는 의사 양성 과정이 오직 대형병원 생존을 위한 도구적 활용에 맞추어져 있는 모순을 알면서도 묵인하고 방조했고, ‘가성비’의 열매만을 취해온 최대 수혜자였다”며 “취약지역과 비인기 필수분야 의사 인력이 부족한 까닭은 국가적인 의사 양성과정이 오직 의사를 도구처럼 활용하는 데에만 초점이 맞춰져있기 때문이다”고 반발했다.
반면 정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의사 수(인구 1000명당 의사 3.48명)와 비교해 국내 의사 수(2.04명)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며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갈등 상황에 의사들의 잇단 파업이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시민의 건강을 볼모로 집단행동을 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한 시민단체 인사는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의료계 집단행동은 공감을 얻지 못한다. 의료 공공성 강화 정책에 의료계가 집단행동으로 반대하는 것은 매우 유감이다. 의사협회의 파업이 명분 없는 기득권 지키기라는 것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의사들의 파업을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