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가 도내 전 지역을 할퀴고 지나가며 피해 예방을 위해 시설 확충과 위험 의식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10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지난 7일부터 사흘 동안 도내에서는 1000건이 넘는 피해가 접수됐다. 주민 3명이 숨지고, 하천이 범람하며 170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이 같은 상황은 인력으로 조절이 불가능한 자연재해 때문이지만 피해를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에 행정당국은 우수저류시설 확충과 하천 정비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전북도는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올해 전주, 익산, 순창에 우수저류시설을 추가 설치하고 있다. 우수저류시설은 빗물을 일시적으로 모아 뒀다 방류하는 시설로 폭우 피해를 막기 위해 도심지에 반드시 필요하다.
이어 저수지를 A~E 등급으로 나눠 D~E 등급에 대해 보강 사업을 벌이고 하천 정비사업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풍수해 예방 사업을 통해 위험물을 처리하고 있다. 예찰 활동을 강화하고 기재부 예산을 확보해 시설을 확충하겠다”라며 “안전 관련 사업들이 진행됨에 따라 도민 안전 확보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시민들의 안전 의식을 높여야 한다는 설명도 있다.
정기성 원광대 소방행정학과 교수 “재난안전법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 등은 재난과 관련해 예방, 대비, 대응과 복구 등에 준비해야 하며 특히 행정적 차원에서 평소 위험 지역 사전 파악하고 관련법 보다 더 대비책을 준비해야 이번 같은 재난에 막을 수 있다”며 “시민들 차원에서도 평소 재난에 대해 위험 의식을 갖고 재난에 대한 교육 등을 사전에 받아둬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인·엄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