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발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전국을 뒤덮고 있는 가운데 의료계가 파업 강행 방침을 밝히면서 의료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집단 휴진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그 피해가 고스란히 도민들의 몫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는 지난 19일 긴급 회동을 가졌지만 상호 입장만 확인한 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후 의협은 “이미 예고된 21일 제3차 젊은의사 단체행동 및 26일부터 제2차 전국의사총파업을 예정대로 추진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 전공의 총 391명(인턴 97명, 레지던트 294명)이 21일부터 순차적 휴진에 돌입할 예정이다. 21일 인턴과 레지던트 4년차, 22일 레지던트 3년차, 23일 레지던트 1~2년차가 휴진하는 식이다. 이렇게 전공의가 집단 휴진에 들어가면 당장 전북대·원광대학교병원과 군산·남원의료원 등이 타격을 입게 된다.
이에 전북대·원광대병원은 진료과별 전문의(교수 등) 중심의 주·야간 당직근무제 등 비상진료대책을 마련해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전공의 집단 휴진으로 인한 의료공백 가능성, 이로 인해 코로나19 진료를 맡고 있는 전문의들의 업무가 늘어날 경우 과부하 우려 등이 제기된다.
또 26일부터는 의료계 총파업이 예고돼 있어, 만약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그 피해가 고스란히 도민들의 몫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전국적 재확산 기로에 놓인 엄중한 상황에서 집단행동을 중지할 것을 요청했지만 의협은 모든 정책의 백지화를 선언하지 않으면 집단 휴진을 계획대로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면서 “코로나19라는 위기상황에서 집단휴진까지 강행된다면 국민들의 불안은 더욱 커질 것이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들에게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그럴 경우 정부도 법과 원칙에 따른 대응 이외에는 다른 선택을 할 수 없다”면서 집단 휴진 중단을 재차 촉구했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일선 현장에 의료공백과 도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21일 오후 예정된 보건복지부 회의 결과에 따라 대응방침을 세워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