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 규모의 국보·보물 특별전 ‘새 보물 납시었네, 新국보보물전 2017~2019’가 지난달 21일부터 9월 27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다.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보물 등 3년간 문화재 대여 기관 34곳의 83건 196점을 공개하는 전시다. 우리 문화를 대표하는 다양한 종류의 국보와 보물이 △역사를 지키다 △예술을 펼치다 △영원을 담다 등 세 가지 주제로 전시되고 있다. 이 중 이달 12일부터 9월 2일까지 열리는 ‘예술을 펼치다’에 온라인 예약을 통해 가 보았다.
조선시대 선조들의 심미적인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는 이번 전시에서 무엇보다도 혜원 신윤복의 ‘미인도’는 발길을 한참동안 붙들었다. 우선 갸름한 달걀형의 앳된 얼굴선이 일품이다. 초승달 눈썹에 앳된 얼굴과는 어울리지 않게 눈빛은 수줍은 듯 그윽하며, 조그마한 입술매무새가 야무진 조선시대 전통적인 단아한 미인이다. 목선과 어깨선 또한 유려하며 노리개를 잡고 있는 손가락도 섬섬옥수다. 주름이 많이 잡힌 풍성한 비취색 치마는 저고리와의 비율이 뛰어난 세련미까지 갖추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의 ‘풍악내산총람도’를 빼놓을 수 없다. 정선은 예술혼이 무르익을 대로 익은 노년에 우리강산에서 가장 아름다운 가을의 금강산 풍악산(楓嶽山)을 그렸다. 가을의 내금강 일만 이천봉 전경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듯 한눈에 들어오도록 압축해 그렸다. 빼어난 필치로 기암절벽을 묘사했고, 그 사이사이에 절과 암자를 눈에 거슬리지 않게 배치하는 균형미가 뛰어난 작품이다.
‘말 위에서 꾀꼬리가 우는 것을 바라본다’는 단원 김홍도의 ‘마상청앵’이 눈길을 끈다. 늦은 봄날 머슴을 대동하고 말을 타고 가는 한 선비가 꾀꼬리를 정신을 잃은 듯 쳐다보는 모습을 담아낸 그림은 구도 또한 대담하다. 역시 단원이다.
선조들의 기품 넘치는 작품을 감상하는 호사를 누린 전시였다. 국새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 놀라웠고, 금속으로 정교하게 하늘을 재는 천체시계도 신비로웠다. 한편, 성형수술이 대세인 현재 우리나라 여성들이 신윤복 미인도의 미감을 한번이라도 느껴보면 어떨까 생각하며 전시장을 천천히 걸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