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구도심 빈집정도 모은 빈집거래은행 가동

시, 총 1961호에 이르는 빈집 정비 위해 5개년 전주시 빈집정비계획 수립키로
빈집 소유자·활용자 중개역할 진행 '빈집플랫폼' 통해 자율적인 거래기반 제공

전주시가 도심 내 방치된 빈집정보를 모아 거래를 유도하는 빈집거래은행을 활성화 정책을 강화한다.

특히 시는 5개년 단위의 체계적인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해 도심 속 흉물로 방치된 빈집을 쾌적하게 바꿔나갈 계획이다.

23일 시에 따르면 빈집실태조사에서 확인된 완산구 1178호와 덕진구 783호 등 총 1961호에 이르는 빈집을 정비하기 위해 향후 5년 동안 추진할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한다.

이는 방치된 빈집으로 인한 범죄발생 우려와 주거환경 악화 등 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고, 빈집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반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시는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공동으로 구축해 시범 운영 중인 빈집플랫폼(빈집은행)을 통해 소유자와 활용자간 중개역할을 강화한다. 빈집플랫폼은 시민들 간 자율적인 빈집거래 기반으로 현재 70호의 빈집이 등록돼있다.

또한 시는 빈집밀집구역부터 우선적으로 빈집을 매입해 나갈 계획으로 비축한 빈집은 임대주택과 문화예술인 공간, 마을쉼터, 경로당, 작은 도서관, 마을작업장, 쌈지공원, 무인택배함, 쓰레기 분리시설, 주차장, 텃밭 등의 공유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로 했다.

안전사고 위해성이 높은 빈집의 경우에는 자진철거를 유도하고 공익에 현저히 저해할 경우에는 직권철거를 진행키로 했다.

김은주 전주시 주거복지과장은 “정주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는 빈집을 정비해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여건을 향상시키고 주거복지를 실현할 것”이라며 “동시에 주민쉼터 등 주민들의 편의공간을 제공해 살기 좋은 정주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