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역경제 '마지막 희망의 끈'

코로나19가 전국적으로 재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2차 긴급재난지원급 지급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5월 중순 긴급재난지원금 효과로 한시적으로 지역·동네 상권 및 전통시장과 소비심리에 훈풍을 불어온 만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급하다는 것이다.

26일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시장경기동향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여파로 전북지역 전통시장 상인들의 경기 체감지수(BIS)가 2월 22.6, 3월 26.6으로 경영난이 극심했음을 보여준다.

이후 긴급재난지원금을 통해 5월 113.7, 6월 87.1로 상승하면서 호전세가 이어졌다.

도내 소상공인들의 경기 체감 또한 2월 38.9, 3월 28.3에서 5월 79.9, 6월 91.8로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심리를 의미하는 소비자심리지수도 지난 4월 80.6에서 5월 86.7로 전북 도민들의 지갑이 열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현장에서도 긴급재난지원금이 체감상 경제적 회복에 이바지했다는 공통된 의견이다.

전주 신중앙시장에서 채소가게를 운영하는 박모(51·여)씨는 지난 2~4월 100만 원에 그치던 월 매출이 5월 말부터 두배 가까이 올랐다고 전했다.

모래내시장 내 반찬가게 또한 긴급재난지원금이 활성화를 보인 5월 말부터 보름동안 매출액이 13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늘었으며 하루에 10명 이상 손님 방문이 이뤄졌다.

전주 서신동에서 족발과 보쌈을 판매하는 자영업자 김일환(31)씨도 하루 매출 전무 즐비하던 상황이 지난 6월 한 달 동안 없었으며 월 평균 매출이 30%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도 또다시 코로나19로 인한 침체된 소비심리와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요구했다.

전국상인연합회 하현수 회장은 “현재 전통시장,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손님이 없어 고사 위기다”며 “임대료와 같이 고정비용을 해소시켜줄 수 있는 재난지원금을 고려해야한다”고 말했다.

전북대학교 경제학부 박태식 교수도 “기대 이상으로 재난지원금은 동네·지역 상권에 큰 경제적 효과로 이어져 지급은 필수적이다”며 “지급 기간을 추석 연휴에 맞춰 소비 효과를 극대화 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