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로 2차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한 ‘완주군의 결단’이 전국으로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민 지급이냐, 선별지급이냐 논란이 있을 뿐 2차 재난지원금 지급 움직임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완주군은 지난 4월에 4인 가족 기준 20만 원의 1차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데 이어 6월에는 지원금을 2배로 늘려 4인 가족 기준 40만원씩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2차 지급, 전국적인 관심을 모았다.
완주군이 9만2000여 전 주민에게 골고루 두 차례 걸쳐 지원한 재난지원금은 44억 원(1차)과 92억 원(2차) 등 총 136억여 원으로,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소상공인들의 경영난에 큰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완주지역엔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 등 자영업체가 3000여개에 육박, 136억 원의 재난지원금을 나눌 경우 1개소당 평균 450만 원 안팎의 매출증대 효과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소상공인계 역시 “2차 재난지원금이 풀린 이후 매출이 종전보다 20% 가량 늘어났다”며 “가뜩이나 어려운 형편에 도움이 된 것은 사실”이라는 입장이다.
여기에, 정부의 재난지원금 248억 원도 동시에 풀리는 등 완주군에만 380여억 원의 돈이 풀려 소상공업계에 가뭄의 단비가 되었다.
한편, 최근 코로나19 재확산 속에서 제주도가 모든 도민에게 1인당 10만원씩 2차 제주형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키로 했으며, 춘천시도 9월1일부터 2차 지급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도 2차 재난지원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라 나오고, 전 국민 여론조사 역시 응답자의 70% 이상이 2차 지원을 찬성한다고 말하는 등 ‘완주발(發) 결단’이 전국적으로 확산할 가능성을 낳고 있다.
자영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원 대상을 전 국민으로 하느냐, 그렇지 않고 선별하느냐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큰 틀에서 정부가 2차 재난지원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흐름은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