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텃밭인 호남 출신이자 유력 대권 후보인 이낙연 신임대표의 앞에는 많은 과제가 놓여있다. 당원 신분일 때는 주요 현안과 거리를 둘 수 있지만 이제는 177석 ‘슈퍼 여당’의 지휘봉을 쥐고 매 순간 책임 있는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결정의 방향과 결과에 따라 대선 주자로서의 지지율도 요동칠 수밖에 없다.
우선 미래통합당과 ‘전북 등 호남 민심 잡기’ 경쟁이 붙은 상황에서 한국판 뉴딜 정책을 통한 지역균형발전 실현이 과제다. 의료계에서 반발하는 남원 공공의대 설립, 군산조선소를 재가동 등 전북 현안 해결에 기대도 크다.
대선을 앞두고는 호남 주자로 민주당 내 전통적인 ‘영남 후보론’의 장벽을 넘는 것도 숙제다.
△호남 쟁탈전
이 신임 대표 체제는 통합당과 치열한 민심 쟁탈전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당초 통합당은 직접 호남을 찾아 5·18 왜곡을 사과하고 용서를 구하는 등 지역 민심 파고들기에 여념이 없다. 당에서는 사실상 ‘호남특위’인 국민통합특별위원회를 설립하고, 위원장으로 고창출신 정운천 국회의원을 선임했다. 특위는 전북·광주·전남 41개 지자체에 당내 의원을‘명예의원’으로 위촉해 예산과 법안, 지역 현안 사업 해결에 나설 예정이다.‘전북 공공의료대학원 설립’등 민감한 현안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이 신임 대표 입장에서도 통합당의 이런 움직임에 신경 써야 하는 상황이다. 우선 민주당이 통합당에 맞서 호남 민심을 굳건히 하기 위해서는 한국판 뉴딜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 새만금 태양광 등 지역주도 프로젝트와 연결되는 한국판 뉴딜은 국가균형발전이 핵심이다. 이 때문에 ‘홀대 정서’가 강한 전북 등 호남에서는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문제에 대한 각 여론조사에서 긍정여론이 높게 나타나는 사실도 이를 방증한다.
남원 공공의대 설립, 군산조선소 재가동 등 전북 현안도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안 대부분이 전북의 경제악화상황과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신임대표는 총리시절부터 전북을 수차례 찾아 악화된 지역경제 문제 해결을 약속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여야 모두 차기 지선, 대선을 앞두고 호남민심을 승부처로 보고 있다”며 “지역 민심을 얻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호남 출신 대선 후보 입지
이 신임대표가 현재 지지율을 굳건히 지키면서 정치적인 입지를 계속 넓혀간다면, 문재인 정부 임기말에 위상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김대중 전 대통령 이래 민주당에서는 대선을 이기기 위해 보수정당세가 강한 영남 출신을 내세워야 한다는 소위 ‘영남 후보론’이 뿌리깊다.
최근 경북 안동 출신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각종 대선여론조사 지지율에서 이 신임대표를 앞선 이유도 당내 정서와 무관치 않다는 게 정치권의 관측이다.
이런 가운데 ‘진문(眞文)’으로 통하는 PK친문 핵심인사들이 김경수 경남도지사를 대선후보로 부각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만약 김 지사가 드루킹 사건 2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면 이 지사처럼 전국적인 차기 주자로 급부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이 신임대표가 이런 상황을 어떻게 극복하고 대권까지 거머쥘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진다. 짧은 7개월의 임기 동안 부동산 상승, 코로나 2차 재난지원금 문제 등에 해결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는 ‘위기 극복 리더십’이 대권을 향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