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주택보급률 도내 최고, 아파트 과잉 공급

전주시 주택보급률, 미분양 속출한 군산보다 높은 120% 육박
전주시 4개 택지개발 통해 2만2600세대 공급, 투기 세력 등장
앞으로 2만 세대 추가 공급, 실패한 주택공급 투기 조장 비판
시 “공급이 수요보다 많을 때 과잉 공급인데 아직 괜찮은 수준”

전주 에코시티 전경. 전북일보 자료사진

전주시에 4곳 택지개발과 재건축, 재개발을 통해 수만세대의 신규 아파트가 건립되면서 과잉공급과 투기 조장 등 후유증이 일고 있다.

특히 전주시는 뒤늦게 불법 전매 등 투기 세력 단속에 나섰지만 수백만원의 과태료 처분에 그치면서 후유증 차단에 한계를 보이며 실패한 주택공급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2일 전주시에 따르면 전체 가구수는 27만8130세대인데 주택은 31만4263세대로 주택보급률은 112.99%다.

전주시의 주택보급률이 110%를 넘어선 것은 에코시티와 혁신도시, 만성지구, 효천지구 등 4개 택지개발을 통해 아파트를 대거 공급하면서다.

2006년 착공해 올해 준공한 에코시티에는 자이와 포스코 등 12개 단지 8109세대의 아파트가 공급됐다.

혁신도시에는 10개 단지 5518세대, 만성지구는 7개 단지 4583세대, 효천지구는 4개 단지 4436세대가 공급됐다.

비슷한 시기에 4곳 택지개발을 통해 총 2만2646세대가 공급됐다.

여기에 삼천 주공과 물왕멀, 우아주공2차 등 재개발과 재건축 3989세대가 공급되는 등 2만6635세대의 신규 아파트가 건설됐다.

게다가 앞으로도 천마지구와 현재 추진중인 재개발과 재건축 물량이 2만 세대에 육박하는 등 추가공급은 계속될 전망이다.

2만 세대가 추가 공급되면 전주시의 주택보급률은 전국 평균 104%보다 15%이상 높은 119%가 된다. 미분양이 속출한 군산(115%)보다 높은 주택보급률로 도내 시군에서 가장 높아진다.

이런 전주시의 아파트 과잉 공급은 투기를 조장하는 등 큰 후유증을 야기하고 있다.

실제 전주시가 에코시티 3개 단지의 불법 전매를 조사한 결과 100명이 적발돼 경찰에 고발됐고, 700여명은 조사대상자로 분류돼 소명 자료를 받고 있다.

하지만 투기 세력이 적발되어도 최대 수백만원의 과태료 처분에 그치기 때문에 혼란을 차단하기에 역부족이다.

이런 혼란을 예상하지 못한 아파트 과잉 공급은 지역 부동산 가격 급등을 초래하는 부작용이 발생하면서 중장기적 관점의 체계적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전주는 한동안 신규 아파트 공급 물량이 많아지면서 외지 투기가 성행했다”며 “이런 부작용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공급량 조절 등의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공급이 수요보다 월등히 많을 때 과잉 공급이라고 한다. 우리시는 아직 과잉 공급은 아니다”며 “특히 민간 아파트는 공급 시기를 조율하고 유도하고 있지만 강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