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분오열·오합지졸, 전북 국회의원 진정한 반성이 먼저

김영기 객원논설위원·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대표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선거와 최고위원 선거 결과에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 중앙대의원 투표에서 3위를 한 한병도 의원이 권리당원 투표에서 6위라는 초라한 성적으로 8명 중 7위로 낙선했다.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이 압승한 이후 전북의 국회의원들은 과거 열린우리당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아야 한다며 틈만 나면 원팀을 강조했다. 하지만 최고위원 선거결과는 전혀 달라서 충격을 준다. 권리당원 투표율이 41.03%이고 한병도 의원이 9.77%를 얻는데 그쳤다. 이는 대략 31,945여 명에 해당한다. 1인 2표제인 최고위원 선출방식에서 전북 의원들이 만장일치로 지지한 한병도 의원에게 권리당원들이 한 표씩만 주었다면 전북의 권리당원이 89,000여 명이고 투표율을 감안해도 무난히 당선되었을 것이다. 전북의 많은 의원이 겉으로만 지지하는 척했고 속으로는 타 지역 후보들을 지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1차적 책임은 한병도 의원이 주로 친문에만 의지하고 인지도를 놀이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한 것에 있지만 결과적으로 안방인 전북에서 표를 얻지 못해 참패한 것이다.

전북의 민주당은 최고위원 선거 결과로 중앙당에서 입지가 좁아지고 이후 정치일정에서 소외되며 현안 해결과 예산 확보에서 상당한 어려움과 불이익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선거과정에서 재선의원들이 앞장서지 않고 소극적으로 임했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벌써 모모 의원은 타 지역의 누구를 지지했다는 이야기들이 파다하다. 여전히 내가 못하면 남도 못한다는 저급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전북 정치의 민낯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 것이다. 초·재선의원으로만 구성되었으니 원팀을 스스로 강조했지만 말뿐이었고 과거 열린 우리당 시절의 사분오열 오합지졸 지역 의원들의 모습이 재현된 것이다. 열린우리당 시절 지역 의원들은 자신의 정치적 이익만을 추구하여 의원들끼리 늘 반목하였다. 지역 현안에서도 보상도 끝난 김제공항을 없던 일로 만들고 전주·완주 통합을 무력화하고 KTX역 신설 반대 등으로 자신의 안위와 눈앞의 이익만 추구하고 소지역주의에 함몰되어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을 거부하였다. 결국 피해는 지역민의 몫이었다. 결과적으로 4년 내내 이전투구만 일삼으며 마름 정치로 만족하다가 대다수 의원이 국민의당 바람과 함께 낙선하여 민주당이 몰락했다.

전북의 민주당은 촛불 혁명과 문재인 정부를 등에 업고 다시 부활했다. 하지만 민주당의 초·재선의원들은 여전히 과거로부터 배우지 못하고 낡은 정치 관행에 머물며 골목대장을 위해(도당위원장 선거) 이전투구하고 남이 잘되는 꼴을 보지 못하여 단결하지 못해 한병도 의원이 최고위원 선거에서 참패한 것이다. 인재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기업 육성에 단결하며 현안에 있어 당과 노선을 초월하여 똘똘 뭉치는 광주·전남의 정치를 언제까지 부러워만 할 것인지 되묻고 싶다. 지역의 각계각층이 동반 성장하면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 지역 전체가 역동성을 가진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무조건 단결하라는 것이 아니다. 정치노선과 관련해서는 치열하게 논쟁과 대결을 하며 다른 길을 가더라도 지역의 이해를 두고 뭉칠 때는 겉과 속이 다르지 않게 확실하게 뭉쳐야 한다는 것이다. 도민의 이익 앞에 당이나 노선과 정책의 다름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이번 최고위원 선거 결과의 참패에 대해 집권당인 민주당 전북 국회의원들의 뼈를 깎는 반성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전북 정치의 변화와 혁신을 기대해본다.

/김영기 객원논설위원·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