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주로 혼자 집에 머무는 재가노인들의 돌봄 공백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방문서비스가 일부 비대면으로 전환되거나 축소되고 노인 스스로 감염을 우려해 서비스를 기피하는 경우까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 장기요양등급을 받고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사람은 2만5000여명이다. 여기에 등급 외 맞춤 돌봄 서비스 대상 2만7000여명을 합치면 총 5만2000여명 가량의 노인이 방문서비스를 받고 있다. 요양보호사나 생활지원사가 거동이 불편하거나 치매 증상이 있는 등 도움이 필요한 가정에 방문해 식사나 목욕, 간호 등을 지원하고 있다.
문제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돌봄과 방역 중 어느 것을 우선해야 할지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경우 특성상 대부분의 경우 대면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지속되면서 일부 복지센터의 경우 대면 서비스를 비대면으로 전환하고, 대면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만 철저한 방역수칙 하에서 대면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직접 방문 대신 유선 확인을 강화하거나, 방문 횟수나 시간을 줄이는 식이다.
전북재가노인복지협회 관계자는 “회원사들이 시·군별 방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방문 횟수나 시간을 줄여 대면을 최소화하고 안부 전화를 더 많이 드리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확진자가 연이어 나온 임실군의 경우 7일부터 2주간 한시적으로 서비스를 비대면으로 전환했다. 돌봄 사각지대 발생 우려에 대해서는 대면이 필요한 경우 가족·친지의 돌봄을 유도하고 여의치 않을 경우 긴급돌봄 대상자에 포함시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대면이 필수인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비대면으로 전환되거나 축소되면서 공백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비상상황 속에서 대면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지만, 식사나 목욕 등 혼자서 생활하기 어려운 재가노인들의 경우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전면 비대면 전환을 하지 않고 있다”면서 “방역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한 상태에서 대면 서비스가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방역이나 돌봄 어느 하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