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안 통과만 남겨둔 남원공공의대 설립이 예상치 못한 복병을 만난 가운데 ‘전북원팀’을 약속한 21대 전북 국회의원들이 정치력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다당제 구도였던 20대 국회보다 결속력이 약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난 4.15 총선에서 전북 10석 의석수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9석을 차지했지만 사실상 정부와 중앙정치권에 내는 목소리가 약해졌다는 것이다.
실제 남원 서남대학교 폐교에 따라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추진됐던 서남대 의대 정원 49명을 활용한 남원 공공의대 설립이 정부와 정당, 그리고 의사협회간의 정쟁에 휩싸여 원점에서 검토되고 있지만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실정이다.
원팀을 강조했던 전북 민주당 국회의원들이 자신의 지역구 사안이 아니면 ‘나 몰라라’식으로 일관하고 있으며, 민주당 소속 전북 지자체 단체장들 또한 ‘강 건너 불’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예컨대 제3금융중심지는 전주, 군산조선소는 군산, 공공의대는 남원의 문제라는 식이다. 금융위원회 등 금융기관을 담당하는 정무위원회에 전북 출신 의원이 단 한명도 배치되지 않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오히려 남원공공의대의 경우 전북이 아닌 타 지역구 의원들이 나서 지원사격을 하고 있는 모습까지 보였지만, 정작 전북정치권은 침묵으로 일관하는 중이다. 자신의 지역구 일이 아니면 전북 전체의 현안으로 보기보단 남의 지역구 문제라는 인식이 팽배해있다는 게 지역정가의 중론으로 전북 정치권의 분열로 자칫 남원 공공의대 설립이 설득력을 잃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반면 20대 국회때 전북 정치권은 당시 새누리당, 민주평화당, 바른미래당, 민주당이 공존했던 다당제였다. 하지만 군산조선소나 지엠대우 군산공장, 새만금국제공항, 신항만 등 지역 현안과 관련해서는 모두가 한 뜻으로 목소리를 모았다.
이번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으로 출마한 한병도(익산을) 의원의 낙마와도 무관치 않다. 지역 내 정치권은 1인 2투표제로 치러지는 이번 최고위원 선거에서 지역내 정치인 일부가 1순위로 한병도 의원이 아닌 다른 지역 의원을 밀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병도 의원을 전북 출신 최고위원으로 세우겠다고 주창한 원팀이 무너진 것이다.
도내 정치권 한 관계자는 “아무래도 전북의원들 모두 초·재선으로 이뤄져 리더가 없고 구심점이 약하다”며“인적 구심점이 약하면 현안으로 뭉쳐야 하는데 원팀을 강조한 겉 모습이 무색하게 내부적으로 결속하지 못하는 또 다른 원인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지금 국회의원들의 모습을 보면 도의원이나 시군의원보다 수준이 낮다는 생각이 든다”며 “원팀이 아닌 각자도생으로 자신의 입지만 높이려는데 정치력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