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제2공공청사 이전·건립, 주민 의견수렴·타당성 필요”

이경신 시의원 5분 발언
“지역사회 협의 없이 강행” 비판

이경신 전주시의원

전주 효자동 소재 맑은물사업본부 이전 계획이 함께 담긴 조촌동 일대 전주 제2공공청사 건립을 두고 전주시가 주민·의회 의견수렴이나 총괄적인 타당성 조사 없이 강행하는 데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이경신 전주시의원은 9일 열린 제374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전주시는 지역주민, 시의원 등 지역사회와 어떤 소통도 없이 일방적으로 맑은물사업본부의 청사 이전과 제2공공청사 건립을 결정했다”며 “지역사회 전반을 고려해 청사 이전 타당성 용역을 하고, 이전 청사 인근 주민들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게 우선”이라고 밝혔다.

전주시는 지난 2월 조촌동 현 항공대대 동남편 부지에 농업부서와 맑은물사업본부 등을 포함한 제2공공청사를 오는 2024년까지 총 715억 원을 투입해 이전·신축하기로 했다.

그러나 지난 5월 전주시의회 예결특별위원회는 시가 제출한 ‘제2공공청사 이전사업 기본계획 수립 용역비’ 1억 원을 적액 삭감했다. 위원회는 일부 부서 이전만을 검토하지 말고 사무·주차 공간 부족 등을 겪는 본청사 전체와 원도심 등 개발소외지역 전체를 포함해 타당성 용역을 다시 추진하라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전주시가 항공대대 이전에 따른 보상 대안으로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을 꾀하다 무산되자 갑자기 제2청사 건립을 발표했다”며, “맑은물사업본부 인근 주민들이 반대한다면 송천동 농수산물센터처럼 이전 계획을 취소할 것이냐. 이는 깜깜이 졸속 행정의 단면”이라고 비판했다.

이어서 “조촌동과 같은 개발 소외지역, 소음 피해 지역의 개발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면서도 “행정청사 분산, 시민 접근성 불편, 시의회와 공감대 형성 부족 등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시는 본청사 전체에 대한 용역과 맑은물사업본부 등 흩어진 시 직속기관 이전에 따른 인근 지역 슬럼화 방지 대책 등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