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정국 속 전북도청의 인력 결원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도의회에서 제기됐다. 이에따라 수해나 코로나 비상근무에 직면한 일선 직원들의 누적된 피로감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북도의회는 10일 최훈 행정부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기획조정실과 자치행정국 등에 대한 추가경정 예산안 심사를 위한 정책질의를 실시했다.
최영규(익산4) 의원은 이날 “전북도청 인력 현황을 보면 정원에 비해 결원률이 심각하다”며 “적재적소 필요한 인력을 채우지 않은데다 인사파트가 모두 행정직으로 채워지다보니 시설직 인력이 상대적으로 인사에서 소외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올 9월 현재 전북도청 정원은 1929명인데 반해 현원은 1820명으로 무려 109명의 결원이 발생했다. 지난 2018년과 2019년 결원은 각각 17명 이었다.
이중 행정직은 681명 가운데 17명이, 시설직은 187명 가운데 15명의 결원이 발생하는 등 행정직에 비해 시설직 근무자들의 결원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원의 주축을 차지하는 요인은 파견인력 때문이라는 문제제기도 있었다. 전북도는 지난 2018년 중앙과 도 산하, 해외에 72명을 파견했고, 2019년 65명, 올해는 87명을 파견했다. 특히 올해의 경우 신규 파견 숫자는 세계잼버리조직위 11명, 아태마스터스조직위 13명 등 24명이다. 익산지방국토관리청 파견은 2명에서 1명으로 감소됐다. 이에 전북도는 익산국토청의 파견 감소 이유를 파견자가 지자체 지원업무가 아닌 국토청 고유업무 추진 및 공모사업 정보 습득 한계를 이유로 들었지만 전남의 경우 많은 인력을 국토청에 파견해 지역과 관련한 SOC사업을 확장시켜나가고 있다는 게 최 의원의 설명이다.
최 의원은 “익산국토청의 경우 호남 내 SOC를 관장하는 전북과 아주 밀접한 정부 기관임에도 오히려 파견인력을 줄였는데 향후 치러질 잼버리 등 인력에는 과감한 파견을 보내고 있다”며 “이는 납득할 수 없는 인사로 사안의 시급성을 요하지 않는 조직의 파견을 늘리기 보다는 파견의 중요성이 높은 조직에 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 상식”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최훈 행정부지사는 “퇴직자가 증하가고 조직개편으로 정원이 증가한데다 코로나19 여파로 공채시험이 연기되다보니 결원폭이 많아진 것 같다”며 “시군공무원노조의 반대로 전입자를 미충원한 것도 하나의 사유로 떠오르는데 곧바로 조직 진단을 통해 결원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