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단체, 국시 거부 단체행동 중단 여부 논의…정부는 "변경 불가"

속보=서울대 의대 재학생 70.5%가 단체행동 지속 반대 의견을 내자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가 국시 거부와 동맹 휴학 중단 여부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의대협은 10일 오전 10시부터 전국 40개 의과대학 본과 4학년 학생 대표들을 중심으로 긴급회의를 진행하고 있으나 마라톤 회의에서도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이들은 단체행동 중단 여부에 대한 표결도 진행할 예정이지만, 회의 과정에서 단체행동을 유지해야 한다는 일부 강경파 의대생들의 목소리가 거센 것으로 알려져 결과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부 강경파 의대생들은 국시 거부와 동맹휴학 등을 멈추지 않겠다는 성명을 (SNS)에 게시하고 있다. 국시 거부 지속 의향을 밝힌 대학은 이화여대, 순천향대, 성균관대, 울산대 등이다.

서울대는 상황이 악화되자 “투표는 학내 의견을 수렴하고 입장을 정하기 위함이었지, 서울의대만의 개별적 행보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며 국시 거부 철회 입장을 유보했다.

이와는 별개로 정부는 의대생 국시 응시 거부와 관련해 의대생 스스로 시험을 거부한 만큼 재응시 기회를 주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10일 정례브리핑에서 “학생들은 자유의지로 국시응시를 거부했고, 스스로 시험을 거부하는 상황에서는 정부가 추가시험을 검토해달라고 하는 요구는 타당하지 않다”고 밝혔다.

한편 ‘국시 접수 취소한 의대생들에 대한 재 접수 등 추후 구제를 반대 합니다’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이날 오후 5시 기준으로 51만 명이 동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