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 구축에 현대중공업 참여 여부 관건

전북도, 군산 조선업 생태계 유지 위해 사업 추진
21일 군산시·LIG넥스원(방산) 등 6개 기관과 협약
신영대 의원 "군산조선소 재가동 전제로 사업 추진"

전북 조선산업 생태계 조성 및 발전을 위한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식이 21일 도청 회의실에서 열린 가운데 송하진 도지사와 강임준 군산시장, 김지찬 LIG넥스원 대표이사, 김광중 군산조선해양기술사업협동조합 이사장, 강희성 호원대총장, 배정철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전북도

전북도가 특수목적선(관공선이나 군함 등) 선진화 단지 구축을 위해 기업·단체 등과 업무협약을 맺은 가운데, 현대중공업의 사업 참여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사업이 추진되는 군산항 6·7부두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부지와 맞닿아 있어 현대중공업의 유휴 부지를 활용하는 것뿐 아니라 원활한 사업 추진과 성공, 더 나아가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해 현대중공업의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게 지역 여론이다.

특수목적선 단지 구축 사업은 지난 2017년 7월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에 따라 침체한 전북과 군산 지역의 조선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추진한 사업이다. 도내 조선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중소·특수선에 특화된 새로운 생태계를 육성하는 전략에 따라 50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국가사업인 선진화 단지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선박 수주 현황에 따라 침체와 호황을 거듭하며 급변하는 조선업 생태계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안 중에 하나로, 신규 수주가 없어도 정비 및 연구 등으로 조선업 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해당 사업은 향후 군산조선소 재가동과도 맞물려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관련 신영대 의원은 21일 군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전제로 이 사업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신 의원은 현대중공업 측이 군산조선소 재가동에 확고한 의지가 있는 만큼 재가동 대비를 위해 이 사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해당 사업에 현대중공업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하면서 전북도가 지난 16일 착수한 타당성조사 연구용역 과정에서도 현대중공업 측과 긴밀히 협의해 추진할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실제 특수목적선 단지 구축 사업은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불투명해지자 침체한 조선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정치권과 현대중공업이 교감을 나누는 과정에서 구체화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현재 현대중공업 측도 사업 참여에 긍정적인 입장으로 알려졌다.

한편, 전북도는 21일 도지사 회의실에서 ‘전북 조선산업 생태계 조성 및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교류 업무협약’을 맺고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 구축 등을 중심으로 공동협력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협약식에는 송하진 도지사, 강임준 군산시장, 김지찬 LIG넥스원 대표, 강희성 호원대학교 총장, 배정철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장, 김광중 군산조선해양기술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이 참석했다. 전북도는 6개 기관의 협약을 통해 특수목적선 선진화 주도, 선박 미래기술 분야 신산업 육성, 첨단 방산기술 공동 연구개발 산학연 협력강화 등을 함께 추진해 나가기로 약속했다.

 

/문정곤 기자·천경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