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 균형 발전 전략으로 초(超)광역 거점 구축 전략을 강조한 상황속에서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은 지난달초 전라남도와 행정 통합을 공식 제안했고,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는 통합추진협의회를 구성, 1차 간담회를 개최하고 향후 추진 동력을 얻어가는 분위기다.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경상남도(부,울,경) 역시 통합논의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고 충청권 역시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등 대체적으로 중부권 대 광역 기점구축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감소 추세가 심각해 머지않아 전국 97개 시군구가 사라질 위기에 직면해 있기에 결국 지방행정체제 개편은 불가피해 보인다.
전북의 상황을 보면 군산시의 현대기아자동차 공장의 철수, 현대중공업의 조선소 가동중단으로 과거 전주혁신도시내 LH본사 유치실패 이상의 심각한 전북도민의 좌절감과 상실감의 여진이 남아 있는게 엄연한 현실이다. 도민 인구는 이제 180만도 언제든 붕괴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전북의 지역정서는 호남의 울타리에 머물러 있고 북쪽으로는 충청권과의 경계선상에 있기에 광주전남권과 충청권의 블랙홀 대상 지역이 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도내 10개 시군이 지역 소멸 위 기 지역으로 분류돼 있기 때문에 “섬으로 전락한 전북” “대한민국의 팔레스타인지역” 이라는 섬뜻한 지적도 있는게 사실이다.
타 시도와 달리 전북은 중추 도시권 개발전략으로 군역별 개발 구상을 기본으로 해야하는데 특히 완주군의 경우 신성장 동력인 탄소산업, 수소산업, 전기차 산업, 특히 전주 완주 혁신도시에 제 3금융지대를 구축해야만 한다. 전주시는 특례시 지정을 위한 특례법 재정에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전라감영을 복원한 이후 천년 전주의 전통 문화의 새로운 문화컨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전주시와 완주군은 규모의 경제 실현을 도모해야 하는데 전북의 경쟁력을 갖추려면 중추도시권 구축의 상징인 완주-전주의 통합에서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
박성일 완주군수는 인구 15만 자족시대를 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한동안 상승 추세에 있던 인구 증가율이 최근 정체 상태에 빠져있다. 혁신도시의 행정구역 단일화 추진과 향후 민간주도에 의한 완주, 전주 통합 논의가 시작된다면 1980년대 완주군 지역인 조촌면을 비롯한 기존 완주군 지역의 행정구역에 대한 개편이 필연적일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완주군 국회의원 배출과 15만명이 넘는 전북 핵심 중추도시로써 우뚝 서게 될 것이다.
청주시가 지난 7월 1일 청주 청원군 통합 출범 5주년을 맞았다. 올 예산은 2조 3353억으로써 전국 4번째 규모이며 인구는 83만 7606명으로 대폭 늘어났다. 충청권의 경우 대전광역시와 충북의 통합 청주시는 대한민국의 중부권의 중추도시권으로 급성장, 규모의 경제를 통해 경쟁력을 갖춰가고 있다.
타 시도도 광역자치단체의 행정 통합 추진 논의는 전북에게 위기이자 기회일 수 있다. 중추 도시권 구축의 상징인 전주 완주 통합 추진 문제를 방치할수록 전북은 더욱 왜소해질 것이다.
주민들의 긍정적인 마인드와 송하진 지사, 김승수 전주시장, 박성일 완주군수 등 3인의 희생정신과 과감한 추진력, 용기가 필요할 때다. 개인의 이익이냐 도민의 이익이냐를 두고 지도자가 고민하고 결단해야 한다.
/김병석 (사)21세기 전주권개발정책연구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