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미술, 인물 초상화의 역사

김선태 한국전통문화전당 원장

대부분 유럽 관광을 다녀온 사람들은 교회와 성당과 유명미술관을 필수 코스로 방문하고 수많은 인물화를 보고 온 것이 기억에 남을 것이다. 아름답고 고풍스러운 건축물과 실내 인테리어를 배경으로 전시되어 있는 작품들 중에 종교화를 비롯하여 인물화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서양미술은 인물화의 역사이다. 이는 서양의 역사가 기독교와 르네상스를 기점으로 인물화가 많이 제작되었던 반면에 조선시대는 화원화가를 선발할 때 산수화가 인물화보다 배점이 많았듯이 동양은 도가 및 자연사상이 주가 되는 사상적 배경에서 산수를 우위에 두는 가치관이 다르다.

평소 유명화가의 인물화를 화집으로만 보다가 미술관에서 원작을 감상한다는 흥분과 설렘은 이루 말할 수 없으며, 인물화가 주는 감동의 깊이는 풍경과 정물화하고는 다르다. 서양미술사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성화나 인물화는 부유한 고객의 주문에 의해서 당대에 가장 유명한 화가가 제작했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말하는 순수미술과는 거리가 멀고 시장의 논리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개인적으로 아카데믹한 인물화의 대가를 추천한다면 러시아 사실주의 화가인 일리야 레핀(1844-1930)과 미국 인상주의 화가인 존 싱어 서전트(1856-19250)를 꼽을 수가 있다. 일리야 레핀은 러시아의 문호 톨스토이와 더불어 최고의 인민작가로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인물 심리 묘사에 탁월함을 보였다. 현재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미술학교가 레핀 아카데미 전신이고 사회주의 국가 화가들을 다수 배출한 곳으로, 국내 소수의 인물화 작가들도 단기코스로 레핀 아카데미를 수료한다. 여기에 비해 존 싱어 서전트는 아주 활달한 붓 터치로 부유한 상류층의 인물을 근사하고 우아하게 보이도록 그리는 천부적인 재능으로 마치 사진사가 인물을 촬영하듯이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당대에 최고의 인물화가임에는 틀림없다.

이들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우리나라도 일제강점기에 일본제국미술학교를 졸업하고 해방이후 월북한 서양화가 이쾌대(1913-1987)는 서사적이고 장엄한 화풍으로 한국의 미켈란젤로라는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인물화에 능했다. 서구적 화풍을 토대로 지극히 향토적이고 민족주의적 색채가 농후한 여러 명이 한꺼번에 한 화면에 등장하는 무리그림으로 유명하다.

요즘 인터넷 동영상에 실린 다양한 인물화 제작과정을 얼마든지 참고 할 수 있는 편리한 세상이지만, 예전에는 유화 인물화기법서라고 해도 외국서적을 카피한 선명도가 떨어진 조악한 번역서 정도가 고작이었다. 본인이 대학 강사 시절 인물화를 지도하면서 홍보용 리플레까지 배포하고 인물 초상화를 주문받아 제작하여 경제적인 부분에 다소나마 보탬이 되었던 시절이 있었다. 내친김에 아이부터 노인을 대상으로 스케치부터 완성단계까지 유화로 그리는 인물화 제작 기법서를 2007년에 재원출판사에서 발간하여 지금도 인터넷 서점에서 판매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 근대화가 중에서 박수근 화백은 미군군부대에서 초상화를 주문받아 제작하여 생활고를 해결하면서 후대에 명작을 남겨놓았듯이, 화가들에게 작품이 밥이 되고 생활이 되는 것은 가장 현실적이고 매우 신성한 행위에 속하는 일이다. 해외에는 초상화 전문화가도 많고 권위 있는 인물 초상화 공모전만도 따로 열린다. 시대가 디지털기기로 손쉽게 찍는 사진을 선호하지만 오히려 손으로 그림 인물화는 더욱 더 그 가치가 빛날 것이다. 미술 판에서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서라도 인물 초상화 시장이 더욱 커지고 많은 젊은 화가들도 관심을 갖고 다양한 인물화가 제작되기를 바란다.

/김선태 한국전통문화전당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