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K-뉴딜을 지역발전의 호기로 활용하려면 지역 특성을 반영한 패키지 사업을 발굴, 중앙정부 사업에서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완주군이 22일 완주문화예술회관에서 개최한 ‘K-뉴딜 이해도 제고를 위한 정책특강’에서 이강진 전북연구원 연구본부장은 ‘K-뉴딜 대응과 관련한 전북형 뉴딜 추진방향’ 주제의 특강을 통해 “지역이 잘할 수 있는 사업, 특히 지역 특성을 반영한 패키지형 뉴딜사업을 발굴해야 성공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시군 등 기초단체의 경우 지역특화성 뉴딜사업 발굴이 유리하지만 대규모 사업 발굴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역균형 뉴딜에 관심을 갖고 정부 주도의 상위계획에 포함될 수 있도록 대응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지역산업 육성에 기여하는 사업 발굴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전주대 임성진 교수도 ‘포스트 코로나시대, 그린 뉴딜-자치단체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한 특강에서 “지역의 관점에서 에너지와 환경, 산업, 농업, 건강 문제 등에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지자체의 역량 강화를 통한 지역의 녹색 전환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그린뉴딜 포괄보조금’ 신설로 지역주도의 그린뉴딜 사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지역주민의 참여 확대로 소득증진과 에너지 전환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하는 사업 발굴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완주군 관계자는 “K-뉴딜 이해도 제고는 물론 정부와 전북도의 정책 추진 방향 등을 공유하고 선제적 대응을 통해 완주형 맞춤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특강 자리를 마련했다”며 “정부가 지역균형 뉴딜을 추가하고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방침인 만큼 K-뉴딜을 활용할 정책사업 발굴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